54.9% DX 추진 고민사항 꼽아
디지털기술 도입 불확실성 키워
인력·시간·비용 등 정책 일관성
정부 전담기관 신설…지원 요구
국내 대중소 2000여개 기업 중 절반 이상이 전문인력 부족으로 디지털전환(DX)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은 정부가 지원 전담기관을 마련해 기업들을 독려하고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고질적 경영난·인력난을 겪는 중소기업의 디지털 기술 도입을 돕기 위해 일관된 정책 프로그램을 마련, 시간·비용·인력 등 여러 걸림돌을 맞춤형으로 해소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25일 한국생산성본부(KPC)가 국내 대·중소기업 2025개를 대상으로 진행한 'DX 추진 애로사항' 조사(복수응답)에 따르면 절반 이상(1111개, 54.9%)이 '전문인력 부족'을 꼽았다.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스마트공장 등 첨단기술을 내부 공정 등에 접목할 전문가가 없기 때문에 DX 접근성이 낮다는 설문 결과다.
이어서 '자금부족'(758개, 37.4%), '시간 부족'(497개, 24.5%), '추진 가이드 미흡'(454개, 22.4%) 등이 뒤를 이었다. 이번 설문은 복수 항목 응답이 허용됐다.
조사에는 자동차, 가전·전자, 헬스케어, 조선, 유통·물류, 철강, 섬유·화학, 에너지, 기계, 소재·뿌리 등에서 각각 200여개(대기업 68개, 중견기업 251개, 중소기업 1706개)가 참여했다.
업계 관계자는 “인력과 기술, 비용이 국내 산업계에서 DX 확산을 가로막는 요인”이라면서 “특히 중소기업은 벤치마크할 DX 성공사례가 드물기 때문에 불확실성을 갖을 수밖에 없다”라고 말했다.
기업들은 우선으로 해결해야 할 정부과제로 '미래 전문인력 양성'(585개, 28.9%)과 '지원 전담기관 신설'(561개, 27.7%)을 각각 꼽았다. KPC는 DX 관련 주요 애로로 꼽히는 전문인력 확충과 자금 부족 등 어려움을 정부 차원 지원 전담기관을 설치해 신속히 해결해야 한다는 의미라고 분석했다. 기업마다 서로 다른 DX 진입장벽을 맞춤형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KOITA)가 지난 5월 기업 연구소와 전담부서 보유 기업 570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DX 실태 조사'에서도 관련 정책을 개선해야 한다는 다양한 목소리가 나왔다.
기업들은 정부가 '산업계 수요(현실)을 반영한 정책 수립'(189개, 33.3%), 대중소 상생사업확대(171개, 29.1%) 등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처간 산재한 지원정책 일관성 확보'를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응답도 13.9%(79개)를 기록했다.
해외에서도 정부의 노력을 강조하고 있다. 스페인 민간 싱크탱크 '응용경제연구재단'(FEDEA)는 디지털 기술 도입에 어려움을 느끼는 기업을 정책 프로그램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보고서를 냈다. 기업의 안정적인 디지털 기술 도입, 도시-지방 간 디지털 격차 해소 등을 위해서는 정부 차원 노력이 중요하다고 봤다.
시중은행의 한 CIO는 “기업이나 민간이 첨단 디지털기술을 도입하고 업무에 활용하게 하려면 정부의 마중물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
윤희석 기자 pione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