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에 경영 애로사항 물어보면 대부분 인력난을 말하죠. 사람 구하기도 힘들고 어렵게 키워놓으면 모두 수도권으로 떠나려하는데 방법이 없어요. 우리도 본사를 수도권으로 옮겨볼까 검토 중입니다.”
지역 ICT기업 대표들을 만나 보면 현장 인력난이 얼마나 심각한 수준인지 쉽게 알 수 있다. 연구개발 인력은 물론 사무직도 구하기 힘든 상황이라고 호소한다.
몇몇 기업은 대학과 산학협력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자체 인재 양성과 인력 확보에 투자하고 있지만 높은 수도권 취업 선호도와 이직률 때문에 효과는 미미하다.
과거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 근로·복지환경 등이 지역 인재 수도권 이탈의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면 지금은 그렇지도 않다.
ICT 분야는 기술력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 비중이 높기 때문에 지역 내 다른 업종과 비교해 임금 수준이 높은 편이고, 기업별로 근무 환경이나 복지시스템을 잘 갖추고 있는 곳도 많다. 수도권 이탈 인력이 많다보니 확보 인재를 붙잡아 두기 위해서라도 임금체계나 복지시스템을 갈수록 향상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된다'는 옛말처럼 'IN 서울'을 꿈꾸는 청년이 많다. 이들의 취업과 이직의 심리적 마지노선은 수도권이다.
최근 불거진 김포시 서울 편입 이슈는 이러한 지역 기업에 불안감을 가중시키고 있다. 단순히 김포와 서울의 통합이 아니라 '메가서울'이라는 명분으로 또 다른 서울 집중화 시작점이 될 수 있다는 우려다.
지역 기업은 가뜩이나 수도권 빨대 현상이 심각한 상황에서 '메가서울' 정책은 이를 더욱 가속화할 것이라고 걱정한다. 기업은 사람과 돈이 모이는 곳에서 비즈니스를 만들어 가는데 과연 지역을 기반으로 기회를 만들고 성장할 수 있을지 의구심을 든다는 것이다.
이번 이슈를 빌미로 본사나 연구실을 서울 또는 수도권으로 옮기기 위해 검토에 나선 기업도 상당수다.
메가시티 조성은 서울 뿐만 아니라 이미 오래전부터 전국 지자체에서 준비해왔거나 연구해 온 프로젝트다. 지방소멸 시대를 극복할 유일한 대안이라는 전문가 의견도 있다.
문제는 정치권이 메가시티 정책을 선거용 수단으로 여기며 너무 가볍게 다루고 있다는 점이다. 적어도 지역에 앞서 서울 메가시티 카드를 먼저 꺼내지는 말았어야 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역을 우선으로 메가시티 정책을 수립해 추진하면서 자연스럽게 수도권으로 옮겨 갔으면 훨씬 좋았을 것이라는 조언이다.
지역 기업은 지역 산업의 근간이자 국가 균형발전의 토대다. 지역 기업이 떠나면 지역 경제가 무너지고 사람도 떠나게 된다. 지역 기업이 지금 매우 불안해하고 있다.
대전=양승민 기자 sm104y@etnews.com
-
양승민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