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무탄소에너지(CFE) 확대에 나선 가운데 수소 에너지를 적극 육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기존 화력발전을 수소발전으로 전환하면서 산업 전환을 유도하고, 수소경제를 구축해 산업 분야에서 탈탄소화를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상준 서울과학기술대 에너지정책학과 교수는 4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김성원 국민의힘 의원 주최로 열린 '무탄소에너지(CFE) 활성화를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정부가 수립 중인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수소발전을 적극적으로 보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지난 3월 재산정된 2030 온실가스감축목표(NDC)에 따라 11차 전기본에서 발전 부문 추가 감축과 기존 화력발전에 대한 감축·전환을 규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수소발전을 확대하는 것이 적합하다는 의견이다.
이 교수는 “우리나라 탄소중립을 위한 전력믹스는 친환경을 추구하되 '리얼옵션 전략' 관점이 필요하다”면서 “액화천연가스(LNG) 전환을 넘어 수소발전을 적극적으로 보급하는 전향적 계획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그러면서 노후화력 발전을 대체하기 위해 '지역 집중형 육성' 전략을 병행할 것을 제안했다. 석탄발전 집중지역의 지역경제 활성화·산업구조 전환을 위해 신산업 육성이 가능한 수소발전을 적극 보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미국, 유럽, 일본 등 무탄소에너지 활용 확산 사례도 소개했다. 미국은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서 청정수소 세액공제를 신설했다. 스웨덴 의회는 지난 6월 2045년까지 100% 재생에너지를 사용하려던 기존 목표를 100% 비화석연료(Fossil-free energy) 사용으로 변경했다.
김진수 한양대 자원공학과 교수는 CFE를 확산하기 위해 안정적인 에너지 안보와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성공적으로 CFE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수소 공급을 기반으로 한 산업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수소를 보급하면서 전기로 대체하기 어려운 산업 분야의 탈탄소화를 돕고, 전력시스템 전체에 유연성을 공급할 수 있다.
김 교수는 수소는 반도체, 이차전지를 이을 국가 차세대 산업으로 단순 에너지원을 넘어선 하나의 신산업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정부는 수소 보급에 집중하기보다 수소 생태계 전주기 육성에 초점을 두고 관련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다양한 에너지원을 활용해 CFE를 달성해야 한다는 제언이 쏟아졌다.
조홍종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탄소중립 달성 방안에 대해 낮은 재생에너지 효율 등으로 인해 국내 실현이 어려운 RE100 대신 원전, 수소, 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가능한 모든 무탄소 에너지를 활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황지현 한국에너지공대 교수는 무탄소에너지 산업은 기후 위기 극복과 경제 발전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미래 핵심산업으로 적극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변상근 기자 sgbyun@etnews.com
-
변상근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