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여름철부터 11월 말까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녹조 발생량이 눈에 띄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름철 강우량이 늘었고 녹조발생에 대비해 환경부가 녹조 주요 원인중 하나인 하천변 퇴비 관리 등 녹조저감 대책을 강화한 것이 주효한 것으로 분석된다.
환경부는 이 기간 전국의 녹조 발생 상황을 분석한 결과 조류경보일 수는 첫 발령일인 6월 8일부터 11월 말까지 총 476일 발령됐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에 743일이 발생했던 작년에 비해 267일(37%)만큼 줄었다.
매년 녹조로 골머리를 앓았던 낙동강 유역에서 큰 감소폭을 보였다. 이번 분석 기간 동안 낙동강 유역의 조류경보 발령일 수를 지난해와 비교할 때, 총 경보 발령일 수는 전년도 665일의 40% 수준인 267일로 나타났다. 특히 낙동강 수계의 '경계'일 수는 지난해 206일의 7% 수준인 14일에 불과했다.
올해 전국 강우량은 작년보다 1.4배(1187㎜ → 1,722㎜) 이상 증가해 녹조 대응에 유리했지만, 평균 기온이 전년대비 약 0.3℃(15.0℃→15.3℃) 상승해 녹조가 증가할 우려도 있었다. 그럼에도 조류경보일 수가 전년 대비 감소한 것은 오염원 유입을 저감하는 사전예방과 댐-보-하굿둑 연계운영 및 녹조제거선 도입 등 사후대응을 포함한 녹조종합대책이 일정 부분 효과가 있던 것으로 평가했다.
환경부는 오염원 유입 저감 대책으로 녹조가 심하게 발생하는 낙동강의 하천·제방 등 공유지에 야적된 퇴비 640개를 일일이 조사해 10월 말까지 518개의 퇴비를 수거하고, 덮개를 설치했다. 이 과정에서 퇴비 소유주를 확인해 적정하게 관리할 수 있게 계도하고 개별 축산 농가에 퇴비 덮개 1600개를 보급, 사유지 내 퇴비 관리도 강화다.
또 녹조가 예상될 경우 댐·보·하굿둑 연계 운영을 실시했다. 환경부는 올해 5~6월 낙동강 물금매리 지점과 칠서 지점의 녹조 대응을 위해 남강댐, 창녕함안보, 낙동강하굿둑을 2차례 연계 운영해 하천 유량을 조절했다. 그 결과 물금매리, 칠서 등 낙동강 주요 취수원에서 녹조가 감소했다. 이밖에 녹조 발생기간 동안 대형녹조제거선, 수상퇴치밭 등 녹조제거 장비를 신속히 도입해 녹조를 적극 제거했다. 이를 통해 취수장으로 조류 유입을 최소화하고 정수장에서 고도정수처리 시설을 가동해 먹는물 안전을 확보하는 등 녹조제거와 국민안전 확보를 위한 다방면 노력을 기울였다는 평가다.
환경부는 내년 녹조 발생에 대비해서도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종률 물환경정책관은 “낙동강 수계에 한정됐던 야적 퇴비 수거 작업을 금강, 한강, 영산강을 포함한 전수계로 확대할 예정으로 대형녹조제거선 16대, 소형녹조선(에코로봇) 3대 등 녹조 저감 설비를 확충해 취수원 인근 녹조를 신속하게 제거하겠다”고 밝혔다. 또 각 지방 유역청마다 녹조가 다량 발생하는 지역을 중점관리지역으로 선정해 지역별 대책을 이행하는 등 촘촘하게 정책을 이행하겠다고 강조했다.
이경민 기자 km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