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에 말똥말똥…아침형 인간 유전자 '네안데르탈인'이 물려줬다?

영국 런던 자연사 박물관에 전시된 네안데르탈인. 사진=플리커(Allan Henderson)
영국 런던 자연사 박물관에 전시된 네안데르탈인. 사진=플리커(Allan Henderson)

아침에 일찍 일어나길 선호하는, 이른바 '아침형 인간' 유전자가 네안데르탈인으로부터 왔을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현지시간) CNN 방송,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존 A 카프라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UC샌프란시스코)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은 오늘날 인류의 유전자를 연구한 결과를 과학저널 '게놈 바이올로지 앤드 에볼루션'(Genome Biology and Evolution)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유럽인 조상을 둔 수십만 명의 건강·유전 정보를 확보하고, 멸종된 인류의 사촌 네안데르탈인, 데니소바인 화석에서 추출한 DNA와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밤낮 생체리듬과 연관된 246개의 유전자를 확인했으며, 이 중 네안데르탈인으로부터 나온 특정 유전자들을 가진 사람들이 일찍 일어나기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프라 교수는 “우리는 많은 네안데르탈인 유전자 변이가 아침형 인간이 될 경향과 일관되게 연관돼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며 이같이 추정했다.

이는 초기 호모 사피엔스가 아프리카를 벗어나 북쪽으로 이동한 것과 관련이 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초기 인류가 살던 아프리카 적도 지방은 1년 내내 낮과 밤의 길이가 거의 비슷한 반면, 고위도에서는 계절에 따라 날씨가 변화무쌍하고 밤낮의 길이가 달라진다. 이런 환경에서는 '더 빠른 생체시계'를 가진 아침형 인간이 적응에 더 유리하다.

호모사피엔스가 그 곳에 먼저 정착해 계절에 적응한 인류의 사촌, 네안데르탈인과 데니소바인과 교배하고, 이를 통해 고위도 환경에 더 빨리 적응했다는 설명이다.

다만 카프라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가 영국인에 한정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내린 결론이라고 강조했다.

연구팀은 유전자 범위를 넓히고 이를 통해 고대 인류의 유전자가 야간근무, 스마트폰 사용이 이어지는 현생에서 어떻게 살아남을지를 연구하겠다고 전했다.

전자신문인터넷 서희원 기자 shw@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