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현 금융위원장은 18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가계부채 등 잠재 취약 요인들로 인해 여전히 불안 요인이 잔존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김주현 위원장은 이날 서울 중구 금융연구원 대회의실에서 열린 연구기관장 간담회에서 금융시장 여건에 대해 진단하며 이같이 밝혔다.
먼저 김 위원장은 “2023년은 글로벌 경기둔화·인플레, 지정학적 갈등으로 인한 시장변동성 확대, 고금리에 따른 기업·국민들의 부담 급증 등 금융시장 여건이 녹록지 않다”면서 “그럼에도 연구기관, 관계부처, 금융권과의 공동 노력으로 헤쳐 나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다만 부동산 PF, 이미 높은 수준인 가계부채 등 잠재 취약요인들로 인해 여전히 불안요인이 잔존하고 있다”며 “잠재위험에 대한 엄격한 관리와 서민·자영업자 등 민생경제의 부담을 완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연구기관장들은 금융 리스크 완화와 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금융지원 등과 관련한 다양한 정책 제언을 내놨다. 특히 모든 연구기관에서 부동산 PF와 가계부채 등에서 파생되는 금융 리스크를 완화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를 냈다.
박종규 금융연구원장은 “코로나19 기간 누적된 가계대출, 중소·자영업자 대출, 부동산 PF대출 등 부채의 위험을 줄여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신진영 자본시장연구원장은 “부동산 PF 위험 관리 강화와 금리 변동성 확대에 따른 금융기관의 위험 추구 행태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태상 IBK경제연구소장은 “현재 은행업은 성장성과 수익성이 둔화한 상황이며, 기업 부실 대응을 위한 건전성 관리가 최우선 과제”라면서 “유동성 위기 기업군 선별 지원, 기술 금융 제도 개선, 수출 중소기업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강동수 KDI 단장은 “부실이 심각한 부동산 PF대출은 단기간에 해소하기 어려우므로 사업성을 기준으로 생존 여부를 판정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금융위는 이날 간담회에서 나온 제언과 논의 내용을 적극 반영해 내년 금융 정책을 구체화하겠다고 밝혔다.
박윤호 기자 yuno@etnews.com
-
박윤호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