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4월 10일 실시할 제22대 총선을 향한 레이스가 본격 시작됐다. 지난 12일 예비후보자 등록을 시작으로 온나라가 선거분위기로 후끈 달아오르고 있다. 그런데 아직까지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이 마무리되지 않았다. 분구 가능성이 있는 도전자의 경우 속이 편치 않다. 선거구가 언제 어떻게 바뀔지 모르기 때문이다. 총선이 4개월여 앞으로 다가왔지만 선거구 획정이 늦어지면서 '깜깜이' 선거 우려가 제기된다.
특정 정당의 색이 강한 호남과 영남은 '경선=본선' 공식이 성립한 지 오래다. 이들 지역에서는 현역 의원들이 당 대표 등 지도부 눈치를 보며 제대로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다. 지도부에 잘 보여야 공천을 받을 수 있는 분위기 탓이다. 소수정당 역시 거대 양당 비판에만 몰두할 뿐 지역민의 마음을 사로잡을 정책 발굴이 아쉬운 상황이다. 제3지대인 신당과 관련한 이야기도 꾸준히 나오고 있지만 성공을 장담하기 어렵다는 게 정계의 대체적인 평가다.
지방정치의 '변방화'는 전국적인 현상이라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주요 의제 설정을 중앙당이 주도하면서 지방 정치인의 영향력은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
지역 유권자들은 벌써부터 총선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다. 역대급 비호감 선거로 치러진 제20대 대통령선거에 이어 이번 선거도 '지방'은 빠진 채 대선의 연장전으로 치러질 공산이 커지고 있다. 여야의 극단적 대립속에 '묻지마 투표'를 하거나 아예 투표를 포기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선거는 대의민주주의에서 시민이 정치과정에 참여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다. 민주주의 성패가 달려 있어 '민주주의의 꽃'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총선은 정당에게는 '죽느냐 사느냐'의 생존이 달려 있지만 유권자에게는 일상생활과 직결되는 지방정치를 되살려야 하는 매우 중요한 선거다.
지방자치가 실시된 지 벌써 30년이 지났지만 지역주민의 삶은 나아지지 않았다는 게 중론이다. 역대 정권마다 지역균형발전을 얘기했지만 오히려 지역차별은 더 심해졌다. 거대정당은 지역주민을 볼모삼아 표몰이에만 열중하고 있다. 지역개발공약은 선거 때만 과대포장해서 유권자를 희망고문하는 단골메뉴가 되고 있다.
이제는 지방의 미래를 장담할 수 없는 중차대한 시기다. 주춤거리다가는 인구소멸로 지역 자체가 사라질 위기에 봉착해 있다. 이번 총선에서는 국가와 지역, 사회적인 난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일꾼을 가려내야 한다. 그 몫은 똑똑한 유권자인 지역민들이다. 정치인과 '막대기'를 가려내야 할 시간이 다가온다. 유권자들이 더욱 더 눈을 크게 떠야 하는 이유다.
광주=김한식 기자 hskim@etnews.com
-
김한식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