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이 2조원이 넘는 민생금융 지원방안을 마련했다. 코로나 19 사태 이후 경제 취약계층을 돕기 위해 사상 최대 규모 이자부담 경감 대책을 내놓았다. 금리상승과 경기부진으로 직격탄을 맞은 소상공인을 돕기 위한 민생방안이기도 하다.
관치 정책이라는 비판이 일각에서 제기됐지만 어찌됐든 많은 소상공인에게 자금 혜택이 주어진다고하니, 반가운 일이다.
그런데 상생자금 방안 대책이 발표되자 일각에서는 각종 피싱과 금융 사기, 보이스피싱이 기승을 부릴 것으로 우려한다. 실제 정부의 민생방안이 발표되면 이를 악용한 금융사기범들이 우후죽순 활개를 친다.
코로나19 지원대책때도 많은 서민과 소상공인들은 이 같은 대책을 악용한 금융사기에 고스란히 노출됐고. 실제 피해로 이어진 사례가 빈번했다.
상생자금 투입과 맞물려 강력한 보안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각종 사이버 범죄가 발을 붙일 수 없도록 디지털 보안 인프라 도입과 민관이 합동해 강력한 사이버 보안 실행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소상공인, 자영업자는 고도화하고 있는 사이버 사기에 취약할 수 밖에 없다. 게다가 이번 상생자금은 캐시백 형태로 이자를 환급해주는 방식으로 돈이 지원된다. 캐시백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며 접근하는 문자메시지(SMS) 등 전자통신금융사기 수법이 대거 출현할 것으로 보인다.
자금을 투입하는 금융사도 큰 우려를 표시하고 있다.
캐시백을 지급하는 방식에 대해 우선 정부와 금융사가 머리를 맞대고 강력한 보안을 담보할 수 있는 인프라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클라우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지급방안도 고려해볼만하다.
길재식 기자 osolgil@etnews.com
-
길재식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