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 부처가 참여하는 범부처 인체질환 극복 마이크로바이옴 기술개발 예비타당성 조사사업이 내년 상반기 중 예타사업을 신청한다. 장질환 중심에 한정됐던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가 암, 면역질환, 희귀질환 등 대부분 질환 분야로 확산하는 연구가 시작된다.
25일 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개발(R&D) 사업 합동 성과교류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공유했다. 아직 구체 사업 내용은 확정되지 않았다.
이번 예타과제를 총괄하는 김재상 예타기획위원장(이화여대 교수)은 “새로운 예타사업은 총 5000억원 이내 규모로 기획했다”면서 “2026년부터 2033년까지 8년간 총 3단계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당초 범부처 마이크로바이옴 예타사업은 1조1505억원 규모로 8개 부처가 참여하는 형태였다. 하지만 인체를 비롯해 해양, 농업, 환경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해 지나치게 범위가 넓다는 지적을 받아 고배를 마셨다. 이후 가장 시급성이 높다고 평가받은 인체질환 중심으로 예타사업 범위와 참여기관을 조정했다. 복지부, 과기부, 산업부, 농림부, 질병관리청, 식약처가 참여한다.
실제로 이번 예타사업은 인체 관련 기반기전 기초기술 연구개발을 강화하는 방안이 핵심이다. 마이크로바이옴 상용화 기반을 조성하되 암, 소화기질환, 대사질환, 뇌신경질환, 희귀·난치질환, 면역감염성 질환에 걸쳐 각 기반기전 질환 전문센터 중심으로 세부 질환을 연구하는 것이 골자다.
새 예타사업에서는 6개 부처에 걸쳐 전주기 연구개발 협업으로 치료제를 개발·상용화하는데 주력한다. 부처 간 공통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데이터 포털 구축과 분석기술 개발 등을 추진한다.
실제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생산을 위해 혁신 제조기술을 확보하는 방안도 주요 사업에 포함했다. 제품 안전성·유효성 평가기술도 별도 확보할 예정이다.
구체 내역을 살펴보면 △기반기전 질환연구 센터 사업 △핵심 공통기반 확립 사업 △마이크로바이옴 제품 생산기술 개발 사업의 3대 핵심 내역으로 꾸려졌다.
표준 데이터 구축도 추진한다. 관련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분석·활용하는 플랫폼을 개발한다. 마이크로바이옴 기반으로 건강지수를 산출해 질환을 진단·예측하는 기술 마련에도 나선다. 새롭게 마이크로바이옴 멀티오믹스 분석 기술(가칭)도 개발한다.
이미 산업부, 과기부, 복지부는 올해 초부터 별도 브릿지 사업으로 2027년까지 5개년에 걸친 마이크로바이옴 기술 연구개발 사업을 시작했다. 기존 각 부처간 사업 성과를 기반으로 범부처 예타사업까지 이어나가 최종 목표를 달성한다는 목표다.
김 위원장은 “현재 각 부처가 추진하는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개발 사업 간 중복을 제거하고 부처 간 시너지를 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가장 개발이 시급한 인체 기반기전 중심으로 전주기 기술을 확보해 이 분야 세계 선도기업과 전후방 신산업을 육성하는 촉매제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배옥진 기자 witho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