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5세대(5G) 이동통신 서비스 품질이 지난해보다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통신 3사 중에서는 SK텔레콤이 핵심지표인 전송속도에서 가장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 KT는 와이파이(WiFi)와 유선인터넷 속도에서, LG유플러스는 다중이용시설 실내(인빌딩) 접속률에서 강점을 보였다. 이통 3사는 새해에도 추가 주파수 확보와 투자로 품질 경쟁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SK텔레콤 5G 속도 1위 지켰다
정부의 품질평가 핵심지표는 다운로드 속도와 커버리지다. SKT는 전국 5G 속도에서 3사 평균(939.14Mbps)을 크게 웃도는 987.54Mbps를 기록했다. 5G 상용화 이후 4년 연속 1위다. 이용자가 집중된 서울에서도 1101.37Mbps 속도로 선두를 지키는데 성공했다. 도심 기지국 장비를 삼성전자 32TRx에서 신형 64TRx로 교체하는 등 투자 효과를 봤다.
회사 측은 “5G 가입자수가 경쟁사보다 많아 인당 주파수 대역폭이 가장 적음에도 속도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5G 커버리지의 경우 올해를 기점으로 이통 3사 모두 4만7109㎢로 동일해졌다. 농어촌 공동망을 포함한 3사의 전국 5G 서비스 범위 면적은 7만5763㎢에 달한다.
안정적 5G망 연결 지표인 접속가능비율도 SKT가 가장 높았다. 전국 180개 주요시설에서 SKT 접속가능비율은 97.42%로 이통 3사 평균(96.62%)을 웃돌았다. 비율이 높을수록 주요 시설 내 5G 전파 신호세기가 약한 서비스 음영지역이 적다는 의미다.
◇KT는 와이파이, LGU+는 실내 접속률 강세
KT는 상용 와이파이와 개방 와이파이 속도에서 10년 연속 1위를 기록했다. KT 상용 와이파이 다운로드 속도는 547.47Mbps로 이통 3사 평균(379.12Mbps)을 압도했다. 개방 와이파이도 549.43Mbps로 경쟁사를 크게 앞질렀다. GiGA인터넷 서비스 역시 7년 연속 속도 1위를 차지하며 탄탄한 유선망 인프라를 재확인했다.
KT는 지하철에서 5G 속도 1003Mbps로 1위를 달성했다. 롱텀에볼루션(LTE) 속도 역시 지난해 135Mbps에서 올해 171Mbps로 가장 높은 개선도를 일궜다. KT는 특정 지역에 집중된 투자보다는 전국적으로 5G 품질을 균일하게 개선하고 커버리지도 지속 확대해나간다는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소비자 체감품질이 높은 백화점과 경기장, 병원, 학교 등 다중이용시설에서 5G 음영지역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동인구 밀집 지역에서 LG유플러스 5G 접속가능 비율은 99.14%로 3사 중 가장 높았다. 전국 5G 다운로드 속도 역시 지난해 764.55Mbps보다 약 15% 늘어난 881.00Mbps로 가장 크게 개선됐다.
◇이통 3사 모두 5G 품질 개선…주파수 추가할당으로 이어가야
이통 3사 모두 전국 5G 커버리지가 지난해보다 2배 이상 상승했다. 통신사들이 5G 서비스 개선을 위해 지속 노력하고 있음을 입증한 결과다. 실제 3사 평균 5G 속도 939.14Mbps는 미국·영국·일본 해외 7개 주요국 평균 속도(217.36Mbps)보다 4배 이상 빠르다. 이는 7개국 중 가장 빠른 UAE(445.73Mbps)보다도 2배 이상 앞선 것이다. 조사국 중 최고 수준임을 재확인시켰다.
다만 통신장비를 통한 5G 품질 개선이 한계에 다다른 만큼 주파수 추가 할당을 통해 새로운 품질 경쟁을 촉발할 필요성도 커졌다. 통신품질은 주파수 대역폭에 비례한다. 현재 SKT, KT, LG유플러스 모두 100㎒폭의 5G 주파수를 보유하고 있다. 정부는 새해 초 3.7~3.72㎓ 대역을 포함한 5G 주파수 추가 할당 계획을 발표한다. SKT는 자사 인접대역인 3.7㎓ 대역 20㎒폭 추가 할당을 요청한 상태다.
지난해 LG유플러스에 대한 20㎒폭 추가 할당은 이통 3사가 5G 기지국 장비를 신형 64TRx(트랜스리시버)로 교체하는 등 투자 경쟁을 불러왔다. 덕분에 서울 지역에서는 3사 모두 다운로드 속도가 1Gbps를 넘어서며 품질 개선이 이뤄졌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현재 주파수로는 가져갈 수 있는 5G 속도가 최고점에 다다랐다”면서 “5G-어드밴스드 준비와 투자 유인이 부재한 품질 경쟁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라도 주파수 추가 할당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박준호 기자 junh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