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지역기업 지키고 첨단기술 실증도시'로 도약 청사진 발표

강기정 광주시장이 24일 오후 시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2024 정책주제별 업무보고회에 참석하여 경제분야 자유토론을 한 후 참석자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강기정 광주시장이 24일 오후 시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2024 정책주제별 업무보고회에 참석하여 경제분야 자유토론을 한 후 참석자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광주시가 시 전역을 실증도시로 조성하고 투자·인프라·인재·문화를 연결한 창업모델 창출에 나선다. '지역기업은 지키고 첨단기술이 눈에 보이는 도시'로 도약할 방침이다.

광주시는 24일 새해 첫 시정 업무보고회를 통해 '경제 최우선'의 의지가 담긴 '기업 지키기 분야' 6대 과제, '선도형 실증도시 분야' 3대 과제 등 9대 과제 지원대책이 담긴 청사진을 발표했다.

시는 광주 전역을 혁신기업의 실증공간으로 제공한다. 혁신기업 44개사에 도시기반 실증공간을 제공해 실증도시 도약의 발판을 다진다. 특히 시민의 삶 가까운 곳에서 AI 기반 혁신기술 제품을 실증할 수 있도록 'AI실증큐브'를 올해 3개소 설치·운영한다. 시민이 혁신기술을 가진 지역 기업의 제품을 직접 체험하고 효용 등을 평가하면서 기업의 실증 실적을 확보하고 개선된 제품으로 양산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한다.

이와 함께 스타트업에서 중소기업까지 창업기업 제품과 기술혁신 인증제품을 실증 지원하고 도시문제를 인공지능(AI) 기술로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 개발을 돕는다. 이를 통해 기업실증 원스톱지원센터를 통해 실증에서 사업화까지 통합 지원한다.

호남권 최대 규모 광주역 창업밸리내 '빛고을창업스테이션'을 올해 개관하고 지난해까지 조성한 3259억원 창업펀드에 더해 500억원의 신규 창업펀드를 조성한다. 기술창업 활성화를 위해 인재양성 사다리를 구축해 유·초·중·고에서 대학·대학원·실무 인재양성까지 지원을 확대하고 AI영재고 설립도 본격화한다.

지난해 11월 개관한 국가AI데이터센터에 이어 AI실증·창업동을 연내에 준공하고 미래차 신규 국가산단과 소부장 특화단지 개발을 조속 추진하기로 했다.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지원한도를 153억원에서 306억으로 확대해 기업당 3억~5억원을 지원하는 등 투자기업의 인센티브 혜택도 강화하고 벤처기업 육성자금 40억원, 구조구도화자금 300억원, 중소유통업 구조개선자금 25억원, 수출진흥자금 30억원 등도 지속해 지원할 방침이다.

이를 바탕으로 오는 2026년까지 선도(앵커)기업 5개사, 혁신기업 200개사를 유치할 계획이다. 내년에 AI집적단지 2단계 사업(6000억원 규모)의 차질없는 착공을 위해 올해 사전절차인 예비 타당성조사를 통과할 수 있도록 철저히 대비할 계획이다.

시는 지역 성장사다리 점프업, 미래차 전환 비즈니스 부스트업 등 정부지원사업과 연계한 2개 지역특화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기업 혁신을 돕는다.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을 확대하고 기초단계의 경우 자부담 비율을 50%에서 30%로 완화해 기업 부담을 크게 경감시킬 계획이다. 수출마케팅, 해외판로개척, 해외규격 인증 등 수출 촉진을 위해서도 전방위로 지원한다.

이 밖에 소상공인 특례보증 지원 규모는 1400억원 1500억원으로, 최대 한도를 3000만원에서 5000만원으로 확대하고 광주상생카드 할인발행과 공공배달앱 운영을 통해 소비 촉진과 소상공인의 매출증대를 도모한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신년 초 경제계 인사들을 잇따라 만나며 시와 경제계가 원팀이 돼 경제위기를 극복하자는 의지를 표현했 듯이 기업과 산업 현장의 다양한 목소리를 폭넓게 수렴해 경제위기 극복의 계기로 삼을 것”이라며 “시 경제정책의 핵심은 산업은 키우고, 지역기업은 지키며, 투자기업을 유치해서 지역 경제를 살리겠다”고 말했다.

광주=김한식 기자 hs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