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마지막 보루로 여겼던 창작 영역도 생성형 인공지능(AI)이 상당 부분 대체할 수 있게 됐다. 생성형 AI를 활용한 콘텐츠 툴이 쏟아져 나오며 콘텐츠를 제작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프롬프트(명령어) 엔지니어링이 더 중요해지며 중소업체 지원을 늘려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콘텐츠 전문 생성형 AI '봇물'...생성형 AI 활용 콘텐츠 제작 '기지개'
콘텐츠산업에 활용 가능한 생성형 AI 도구는 무궁무진하다. △텍스트를 입력하거나 이미지 파일을 업로드하면 그림을 생성하는 '미드저니' △원하는 이미지에 대해 묘사하면 비슷한 이미지를 생성하는 'DALL-E' △이미지를 업로드하면 딥러닝 기술을 활용해 자동으로 채색해 주는 툴 '네이버 웹툰 AI 페인터' △입력한 문장의 문맥을 분석한 뒤, 이어지는 스토리와 대사를 즉석에서 창작하는 '뤼튼' △음악 생성형 AI '포자랩스' 등이다.
최근 콘텐츠 산업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하는 다양한 시도가 잇따르고 있다. 콘텐츠산업에서의 생성형 AI 기술 활용은 초기 단계로 서비스 특성에 맞도록 사업모델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디즈니플러스는 오리지널시리즈 '카지노' 제작 당시 디즈니 자체 생성형 AI '디에이징' 기술을 활용, 최민식 배우의 과거의 모습을 되살리고 소리를 분리·제작했다. 밀리의서재는 책 내용에 창작을 더해 만든 영상 콘텐츠, 텍스트를 넣으면 다양한 목소리로 읽어주는 AI 오디오북 서비스를 제공했다.
업계 관계자는 “생성형 AI는 잘 활용하면 창작자들의 불필요한 작업 수행 시간을 줄이고 더 핵심적인 부분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며 “수많은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 분쟁 필연…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중요성 커질 것”
생성형 AI를 활용한 콘텐츠 툴도 결국 인간이 창작한 결과물을 학습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저작권 이슈가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이 때문에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 중요해진다는 게 전문가 의견이다. 프롬프트는 LLM의 답변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질문하는 노하우를 담아 질문을 최적화하는 기능이다. 법적 리스크가 없는 학습 데이터 기준이나 오픈소스에서 학습한 데이터를 기본으로 결과물을 생성해달라고 명령하는 게 필수적이다.
최경진 한국인공지능법학회장은 “생성형 AI 활용에 있어 오픈소스 활용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며 “저작권 기준·제도 마련도 중요하지만, CC 라이선스 등 저작권 이용·복제에 대한 내용을 기계적으로 표시하면 AI가 자동으로 분류해 라벨링할 수 있게 하는 등 기술적으로 저작권 침해를 덜 할 수 있도록 노력도 병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인프라·인력·데이터 등 비용 등으로 생성형 AI 제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 콘텐츠 업체를 지원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송영훈 한국콘텐츠진흥원 산업정보팀장은 “AI 관련 연구개발(R&D)과 기술, 클라우드 지원이나 AI 창작도구·프롬프트 활용 전문인력 양성이 필요하다”며 “AI 활용 법적기준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주고 저작권 문제 상담 지원도 요구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권혜미 기자 hyeming@etnews.com
-
권혜미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