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완전적립식 ‘新국민연금' 제안…“미래 세대, 낸 만큼 받아야”

이강구 KDI 재정사회정책연구부 연구위원(오른쪽)과 신승룡 연구위원이 2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국민연금 구조개혁 방안'을 발표했다.
이강구 KDI 재정사회정책연구부 연구위원(오른쪽)과 신승룡 연구위원이 2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국민연금 구조개혁 방안'을 발표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완전적립식 ‘신연금 제도' 도입을 제안했다. 국민연금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신(新)연금과 구(舊)연금으로 분리·운용하자는 취지다. 미래 세대가 기여한 보험료만큼의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도록 확정기여형(DC형)으로 설계 재정안정성을 담보하고, 동일 연령(코호트) 내에서 소득 이전이 가능한 연금제도를 도입해 신연금의 소득재분배 기능을 확보하자고 주장했다.

이강구·신승룡 KDI 재정사회정책연구부 연구위원은 2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국민연금 구조개혁 방안'을 발표했다.

현 국민연금 제도가 유지된다면, 적립기금은 작년 1015조원(GDP의 44.8%)에서 2039년에 최대 규모인 1972조원에 도달한 이후 점차 감소해 2054년에는 소진될 전망이다.

이강구 연구위원은 “현재 운용방식을 유지하는 한 보험료율을 9%에서 18%로 인상할 경우에도 2080년경에는 결국 전체 적립금이 소진될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미래 세대의 희생을 요구하지 않기 위해서는 ‘기대수익비 1'의 완전적립식 ‘신연금' 도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기대수익비 1 이상이면 가입자가 납부한 보험료와 이를 적립한 기금의 기대운용수익의 합에 비해 사망 시까지 받을 것으로 약속된 총급여액이 많다는 것이다. 한국은 합계출산율이 매우 낮아져서 기대수익비를 1 부근으로 유지하기 어려워 연금개혁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완전적립식 신연금은 15.5%의 보험료율로 2006년생부터 현행 평균 연금 급여 수준을 보장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구연금과 신연금이 병존해 출생연도에 따라 기대수익비가 점진적으로 하락하다가 2006년생부터 1로 수렴할 것으로 예측된다.

연구진은 급여 산정 방식을 확정급여형(DB형)에서 DC형으로 전환하고, CCDC(Cohort Collective Defined Contribution)형 연금제도를 도입하자고 제안했다. 이 위원은 “개인계좌제와 달리 연령군에 대해 DC형 연금을 적용하면 소득재분배 기능을 탑재할 수 있다”면서 “코호트 내에서 소득 이전이 가능한 CCDC형을 도입하자”고 강조했다.

다만, 연구진은 신연금 도입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609조원(GDP의 26.9%) 내외로 추정되는 구연금의 미적립 충당금을 일반재정이 보장해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신연금에 그 부담이 전가될지 모른다는 미래 세대의 불안을 차단하기 위해서다.

이 위원은 “이른 시점에 빠른 속도로 일반재정을 투입해야만 재정부담의 명목가치가 최소화되므로, 구연금 기금이 소진되기 전에 재정투입을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서 “완전적립식의 신연금 도입 개혁이 5년 지체될 경우 일반재정이 부담해야 할 미적립 충당금은 260조원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지적했다.

이준희 기자 jh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