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비대면 진료, 뉴 노멀로 발전시켜야

정부가 비대면 진료를 전면 확대했다. 의대 증원에 반대하는 전공의들의 집단행동에 따른 고육지책이다. 효과는 수치로 확인된다. 비대면진료가 종전 대비 2배 가량 늘었다. 원격의료산업협의회에 따르면 하루평균 비대면 진료 건수는 약 1500건에서 3월 들어 하루 2250~3000건 수준으로 증가했다.

의사 집단행동 장기화에 따른 보건의료재난 위기 경보 '심각' 발표 (서울=연합뉴스) 황광모 기자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총괄조정관인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이 2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을 하고 있다. 정부는 전공의 이탈 장기화 따라 보건의료재난 위기경보 '심각'을 발령하고, 초진 및 병원의 비대면 진료를 허용했다. 2024.2.23 hkmpooh@yna.co.kr (끝)
의사 집단행동 장기화에 따른 보건의료재난 위기 경보 '심각' 발표 (서울=연합뉴스) 황광모 기자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총괄조정관인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이 2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을 하고 있다. 정부는 전공의 이탈 장기화 따라 보건의료재난 위기경보 '심각'을 발령하고, 초진 및 병원의 비대면 진료를 허용했다. 2024.2.23 hkmpooh@yna.co.kr (끝)

물론 중증 환자보다는 가벼운 증상 환자들이 동네 의원에서 이용했다. 야간과 휴일 이용은 유사했으나, 평일 이용자들이 늘어났다. 앞서 정부는 의료 공백 사태를 막기 위해 지난달 23일부터 평일이나 의료취약 지역이 아닌 곳에서도 비대면 진료를 허용했다.

닥터나우, 솔닥, 나만의닥터, 올라케어 등 비대면 진료 전문기업들은 어떤 상황일까. 마냥 웃을 수 없다. 지금같은 비상시국이 아니면 다시 허용 범위가 축소될 개연성이 높기 때문이다. 코로나19로 교훈을 얻었다. 한 마디로 불확실성은 해소되지 않고 있다. 정부 정책 방향에 따라 서비스 축소와 확대가 반복돼 왔기 때문이다.

비대면 진료 서비스 제공사들도 풀가동중이다. 이용자는 늘어나는데, 회사는 고객서비스와 운영인력을 늘리지 못한다. 인력을 대폭 충원했다가 추후에 구조조정에 직면할 수 있다. 채용에 신중을 기한다. 사태가 언제 진정될지도 불확실하고 사태가 진정된 이후 정책이 또 바뀌는 것도 큰 변수다.

코로나19 시기가 반면교사다. 당시 전면 확대로 열어놓고 서비스를 했다가 사태가 진정된 이후 전문기업들은 힘든 시기를 겪었다. 구조조정, 비즈니스모델 전환 등 아픈 기억이 적지 않다. 대부분 투자를 받아서 성장하려는 기업들인데, 투자 유치에도 영향을 받는다. 투자자들이 정책의 불확실성을 이유로 투자를 꺼린다.

비대면 진료는 어쩌면 '뉴 노멀'이다. 이제는 시대적 흐름을 반영해야 한다. 단순히 전공의들 압박수단 또는 불가피한 대체 수단으로의 비대면 진료가 아니라, 하나의 의료 모델로 인정하는 것을 전향적으로 검토하자. 방향성을 잡고 미세 조정은 하면 된다.

시민들은 코로나19를 거치면서 학습이 됐다. 자체적으로 대면 진료를 할지, 비대면으로 해도 될지 판단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했다. 이제는 비대면 진료를 좀 더 성숙시켜야 한다. 정부 역시 땜질식 도입이 아니라, 법제도적으로 보완해야 한다. 이제는 '법제화' 요구도 좀 더 청취하자. 반영할 것은 하고, 버릴 것은 버리면 된다. 약배송의 경우 찬반 논리가 엇갈린다. 진료 수가 문제 역시 검토가 필요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