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전지와 반도체 등 산업시설에 나오는 폐수 재활용은 물론 기업들의 민원 등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민간 전문가가 머리를 맞댄다. 올해는 이차전지 산업에서 발생하는 고농도 염폐수 처리와 관련해 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등 업계의 요구사항을 수렴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23일 '산업폐수관리 개선방안' 마련을 위해 '산업폐수 관리정책 선진화 포럼'을 운영해 업계와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한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산업폐수를 배출하는 새로운 형태의 산업 등장, 산업계의 폐수 재이용 확대 요구 등으로 폐수 배출시설 관리제도 개선과 선제적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선진화 포럼 운영 필요성을 설명했다.
포럼에는 환경부와 소속 산하기관 등 산학연 전문가 20인이 참여할 예정이다. 포럼은 2개월에 1회 이상 회의를 열어 주요 산업폐수 정책 관련 발전방안을 검토하게 된다.
올해 포럼에서는 최근 제기된 이차전지 폐수 문제 등을 포함해 산업폐수와 관련해 제기되는 문제를 다룬다.
이차전지 제조를 위해서는 다량의 물이 필요한데, 생산에 필요한 물 확보는 물론 사용된 물의 재이용 방안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속가능한 물순환 생태계를 만들어야 이차전지 산업의 안정적인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특히 이차전지 산업에서 발생하는 고농도 염폐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처리가 어려우며, 유가금속 회수 등 보다 경제적인 처리기술이 필요한 분야로 꼽힌다. 환경부는 이에 대해 고염폐수 처리기술 R&D를 지원하고 폐수 처리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 현장을 찾아가는 기술지원반을 운영하고 있다.
기업 간 폐수 재이용 허용 방침도 연구용역을 추진 중이다. 환경부는 공업용수가 부족한 지역을 중심으로 산업폐수 재이용 허용 요구가 빗발치자 지난해 8월 규제를 개선하면서 산업폐수 재이용 허용 확대를 추진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어 같은해 9월 물환경보전법 시행규칙 개정을 입법예고했다. 개정안은 '폐수를 사용하려는 사업장에서 수질오염물질이 적정하게 처리되는 등 일정한 요건을 갖춘 경우 수질오염방지시설을 설치하지 않고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그러나 실제 규칙 개정으로 이어지지 못했다.
환경부는 “새로운 형태의 산업이 등장하고 폐수와 관련된 산업계의 요구가 잇따르고 있다”며 “효과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을 위해서는 토론의 장이 필요하다고 보고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인식 하에 포럼을 만들어 운영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최다현 기자 da2109@etnews.com
환경부, 관리정책 선진화 포럼
-
최다현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