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2년 한국이 반도체 생산 2위 국가될 것”

美 반도체산업협회 보고서…대만 제치고 中 이어 2위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와 보스턴 컨설팅 그룹(BCG)이 발간한 '반도체 공급망의 새로운 회복 탄력성' 보고서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와 보스턴 컨설팅 그룹(BCG)이 발간한 '반도체 공급망의 새로운 회복 탄력성' 보고서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국가별 반도체 생산 비중

2032년 한국의 반도체 생산 비중이 대만을 넘어 전 세계 2위를 차지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와 보스턴 컨설팅 그룹(BCG)은 8일(현지시간) '반도체 공급망의 새로운 회복 탄력성' 보고서에서 2032년 전 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한국의 생산능력은 19%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2022년 생산비중 17%보다 2%포인트 늘어난 수치로, 중국(21%)에 이어 두 번째로 높고 대만(17%)과 미국(14%)도 앞서게 된다. 미국은 투자확대로 기존 10%에서 14%로 점유율을 확대, 4위 일본(15%)에 이어 5위에 오를 것으로 예상됐다.

반도체 분야별로 살피면 10나노 미만 선단 공정에서는 미국이 비중을 0%에서 28%까지 확대하는 반면에 한국 비중은 기존 31%에서 9%로 하락이 점쳐졌다. 미국이 반도체 인프라 재건에 나서면서 첨단 반도체를 생산할 수 있는 파운드리 팹(공장)을 대거 유치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한국은 D램,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분야에서 점유율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됐다. D램은 52%에서 57%로, 낸드플래시는 30%에서 42%로 높아진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2032년까지 한국 반도체 생산능력이 129% 증가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미국(203%)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유럽(124%)과 대만(97%), 일본(86%), 중국(86%) 등은 한국을 밑돌았다. 보고서는 “한국은 반도체 산업 발전에 일찍 투자해 삼성전자과 SK하이닉스가 세계 반도체 리더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며 “세계 낸드 플래시 메모리와 D램 시장에서 각각 절반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박진형 기자 j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