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도전과 파격'의 우주항공청을 기대한다

우주항공청 임시청사.
우주항공청 임시청사.
‘뉴스페이스’ 시대 민간 선도기업 육성 중책
조기 안착 힘써 ‘5대 우주강국’ 진입 서둘러야

우리나라 우주시대를 선도할 우주항공청이 드디어 경남 사천시에 문을 연다. 정주 여건과 인재 영입을 둘러싼 초기 우려를 딛고 개청하는 만큼 조기 안착에 힘써야 할 때다.

우주항공청은 '한국판 NASA(미국항공우주국)'를 표방한다. 우리나라 우주항공 분야 전반을 총괄하면서 발사체 및 위성 개발, 우주탐사, 우주 기초연구 등 우주 관련 연구개발(R&D)은 물론 우주개발 및 산업 육성을 위한 생태계 조성에 집중하게 된다.

경남은 국내 유일한 항공기 제작업체 한국항공우주산업(KAI), 한국형 발사체 엔진을 생산하고 조립하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우주항공 관련 기업이 밀집해 있다. 두 업체를 중심으로 크고 작은 부품·소재 협력업체들이 우주항공산업 생태계를 이룬 곳이다. 경남은 우주항공산업 생산액, 기업 수, 종사자 수 모두 부동의 1위다.

경남도는 사천시를 중심으로 우주항공복합도시를 구상한다. 산업·연구·국제교류·교육·행정 등 우주항공 분야 전반을 집적한 것이 우주항공복합도시다. 우수한 국내외 우주항공 전문인력을 유입하기 위해서라도 미래형 복합도시 조성은 필요하다. 정부 및 정치권의 전폭적인 지원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2022년 8월 우주경제 로드맵을 직접 발표하면서 '5대 우주강국' 진입을 목표로 제시했다. 우리나라 우주항공산업 기술력은 미국, 중국, 러시아, 일본, 인도 등 우주 선진국에 크게 뒤진다. 민간기업 중심으로 폭발적 성장을 거듭하는 전 세계 우주경제 시장에서 우리나라가 차지하는 비중도 미미하다. 그만큼 앞으로 극복해야 할 과제가 막중하다.

기술격차를 극복하는 데 숱한 난관이 도사린다. 우주항공청 개청 초 총예산 규모는 7000억원으로, 향후 우주개발 관련 대형 프로젝트 추진을 위해선 예산 확대가 절실하다. 도전적 R&D에 대해 여전히 보수적인 상황이 우려되기는 하나 우주항공청의 조기 안정화를 위해선 실패를 용인할 수 있는 재정 기조가 마련돼야 한다.

가장 중차대한 과제는 '뉴스페이스'라 불리는 미래 우주항공산업을 선도할 기업을 육성하는 일이다. 기존 정부 주도 사업 방식에서 벗어나 민간과 역할을 분담해야 한다. 전 세계 우주개발 트렌드를 단시간 내 좇아가려면 국제협력으로 활로를 개척함과 아울러 민간기업과 협력은 필수다.

산·학·연·관의 역량을 한데 모아 도전적 우주개발을 실행하고 이를 통해 확보한 기술로 민간 주도 우주산업 경쟁력을 높이는 '도전과 파격'의 우주항공청 행보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