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 ㎞ 떨어진 곳에서 움직이는 먹잇감을 포착하는 '독수리의 눈'을 닮은 카메라 나왔다.
기초과학연구원(IBS·원장 노도영)은 김대형 나노입자 연구단 부연구단장(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팀이 송영민 광주과학기술원(GIST) 교수팀과 새 눈의 구조·기능을 모방한 물체 감지 특화 카메라를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독수리와 같은 조류의 눈은 높은 나무 위에 서식하는 생존환경에 맞춰 망막에 깊고 좁은 모양의 함몰부위 '중심와'가 존재하도록 진화했다. 멀리 있는 물체를 확대해 보기 유리하다.
새 눈 중심와에는 색을 감지하는 원추세포가 높은 밀도로 분포돼 물체를 더 선명하게 인지할 수 있다. 새의 눈은 사람과 자외선도 감지할 수 있다. 덕분에 사람이 보지 못하는 시각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복잡하고 역동적인 환경에서도 물체를 효율적으로 인식한다.
IBS 연구팀은 새 눈 구조와 기능에서 영감을 받아 물체 감지에 특화된 새로운 카메라를 설계했다. 개발 카메라는 인공 중심와와 가시광선 및 자외선 감지가 가능한 다중 파장 이미지 센서로 구성된다.
우선 GIST 연구팀과 협업해 새 중심와 구조를 모방한 인공 중심와를 제작했다. 광학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미지 왜곡 없이 멀리 있는 물체를 확대할 수 있는 최적의 디자인도 고안했다.
이후 우수한 전기·광학적 특성을 가진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을 활용해 다중 파장 이미지 센서를 제작했다.
서로 다른 파장 영역을 흡수하는 4종류의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을 사용해 광센서를 제작한 뒤, 이를 수직으로 쌓아 올려 색 필터 없이 색을 구분할 수 있는 센서를 구현했다.
줌 렌즈를 사용해 물체를 확대하는 기존 카메라는 확대된 물체 주변부는 인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연구진이 제작한 물체 감지 특화 카메라는 시야 중앙부에서는 물체를 확대하면서 주변부 시야도 제공한다.
덕분에 두 시야 차이를 바탕으로 물체 움직임을 더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 시각 정보가 다양해지고, 공정비용과 무게가 절감되는 장점도 있다.
연구진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개발한 카메라의 물체 인지 및 움직임 감지 능력을 확인했다. 물체 인지 능력 측면에서 새로운 카메라(신뢰 점수 0.76)는 기존 카메라 시스템(신뢰 점수 0.39)보다 약 2배 높은 신뢰 점수를 나타냈다. 움직임의 변화율도 기존 카메라 시스템 대비 3.6배 증가해 더욱 민감하게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김대형 부연구단장은 “우리가 개발한 카메라는 물체 감지 능력이 필요한 무인 로봇, 자율 주행차 등에 응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새와 유사한 환경에서 작동하는 드론에서 장착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5월 30일(한국시간) 로보틱스 분야 세계 최고 학술지인 '사이언스 로보틱스'온라인 판에 실렸다.
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