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SMR 건설...2038년까지 원전 3기 추가

11차 전기본 실무안 발표
소형모듈원자로도 사상 최초 반영
무탄소 전원비중 70.2%까지 확대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총괄위원장인 정동욱 중앙대 교수가 31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FKI타워에서 제11차 전기본 실무안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총괄위원장인 정동욱 중앙대 교수가 31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FKI타워에서 제11차 전기본 실무안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2038년까지 소형모듈원자로(SMR)·대형원전, 재생에너지를 망라한 무탄소전원을 전력 시장에 대거 도입한다.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국가 전체 전력의 70% 이상을 무탄소전원으로 공급해야 한다는 권고에 따라서다.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총괄위원회는 31일 이런 내용의 11차 전기본 실무안을 발표하고 산업통상자원부에 전달했다.

전기본은 2년 주기로 향후 15년간 적용될 전원 계획을 수립한다. 11차에선 2024년부터 2038년까지 장기 전력 수요 예측·전원믹스를 담았다.

전원믹스의 판단 근거가 되는 전력수요는 2028년 129.3GW로 추산했다. 여기에 적정 예비율 22%를 적용해 필요 목표 발전 설비 용량을 157.8GW로 산출했다. 10차 전기본에 반영된 원전 건설 계획, 노후 석탄 발전소 대체 등을 고려한 확정 설비용량은 147.2GW다.

목표 발전 설비 용량에서 확정 설비용량을 뺀 필요 신규 설비 용량은 10.6GW로 2030년부터 단계적으로 LNG발전, 원자력 등을 반영해 나갈 것을 권고했다.

2031∼2032년에는 2.5GW의 신규 설비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 물량은 가장 빠르게 전력 시장 진입이 가능한 LNG발전이 채운다. 입찰(용량) 시장을 열고 경쟁을 통해 사업자를 선정하도록 했다. 전력공급가격, 설비 용량 등이 핵심 선정 기준이다. 산업부는 이와 관련해 올해 1.1GW 규모 시범 입찰을 진행한다.

2033∼2034년에는 1.5GW의 신규 설비가 필요한데 수소 혼소 방식으로의 전환을 전제로 한 LNG 열병합 발전기나 100% 수소 이용 등 무탄소 발전 설비를 활용하는 것으로 하되, 최종 결정은 다음 전기본에서 정하도록 했다.

2035∼2036년에는 2.2GW의 신규 발전 설비가 들어가야 한다. SMR 실증 물량 0.7GW을 제외한 1.5GW를 두고 수소전소 등 다양한 무탄소전원 간의 경쟁이 가능한 무탄소 입찰시장을 도입, 최적의 전원을 결정할 것을 권고했다.

2037∼2038년에는 4.4GW의 신규 설비가 필요한 것으로 전망했다. 총괄위는 1기의 설비용량이 1.4GW인 최신 한국형 원자로 APR-1400를 최대 3기 반영할 수 있다고 봤다.

대형 원전은 부지 확보 기간을 포함해 건설에 최대 14년이 소요된다. 11차 전기본이 확정되면 하반기부터 부지 선정 작업 등 신규 원전 건설에 필요한 제반 작업이 시작될 전망이다.

총괄 위원회는 실무안에 기존 10차 전기본 계획 대비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확대해야 한다는 권고도 담았다.

11차 전기본 실무안의 2030년 재생에너지 보급 목표는 72GW다. 이는 10차 전기본의 65.8GW 대비 6.2GW 늘어난 수치다.

태양광·풍력 설비 보급 목표는 10차 전기본의 2036년 99.8GW에서 2038년 115.5GW로 상향 설정했다.

2037∼2038년 설계 수명 30년이 도래하는 노후 석탄 발전소 12기는 양수·수소발전 등 무탄소 전원으로 전환토록 했다.

11차 전기본이 확정되면 신재생에너지 발전과 원전을 양대 축으로 한 무탄소 전원의 비중은 2023년 39.1%에서 2038년 70.2%까지 늘어난다.

총괄위가 산업부에 권고한 11차 전기본 실무안은 환경영향평가, 정부 부처 간 협의, 국회 보고 등 절차를 거쳐 확정된다.

정동욱 제11차 전기본 총괄위원회 위원장은 “탄소중립이라는 명제 하에 무탄소 전원을 최대한 반영했다”며 “그동안 탄소중립이라는 목표는 있었지만 달성 경로가 구체적이지 않았다. 산업 부문 탈탄소를 위해 전기화 수요가 증가하기 때문에 보다 중장기적 에너지 로드맵을 정부가 수립하길 권고한다”고 말했다.

최호 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