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망경]바이오클러스터 육성, 부처간 협업에 달렸다

보건복지부를 주축으로 한 '바이오클러스터 협의체'가 지난달 29일 출범했다.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소벤처기업부, 교육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관계 부처가 모두 참여한다. 인천, 대구·경북, 오송, 대덕, 경기, 원주 등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바이오 클러스터 운영기관도 협의체에 들어갔다.

정부 주도 바이오 클러스터 협의체 구성은 이번이 처음이다. 민간 주도 협의체는 현재도 존재하지만 사실상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는 데 실패했다. 기존 바이오클러스터가 정치적인 이유로 탄생한 경우가 많은데다 소관 부처도 다르다 보니 원활한 협업이 어려웠던 탓이다.

서울바이오허브
서울바이오허브

바이오 업계는 이번 협의체에 거는 기대가 크다. 그동안 우리나라 바이오클러스터는 서로 경쟁하거나 독자 생존 방안을 모색하는 데 집중했다. 국내 바이오산업 자본과 생태계가 취약하다 보니 한정된 자원을 유치하는 데만 몰두했기 때문이다. 단절된 바이오클러스터 관계를 해소할 마중물 역할을 협의체가 해주리라 기대하고 있다.

협의체가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복지부를 비롯한 관계 부처 의지가 가장 중요하다. 가장 시급한 현안으로는 바이오클러스터 육성과 상호 협업을 이끌어 내기 위한 제도다. 인천, 서울, 경기, 오송, 대덕, 춘천 등 주요 바이오클러스터는 소관 부처와 관련 법령이 제각각이다보니 통일된 발전 전략 수립은 고사하고 현황 취합 조차 어려움이 있었다.

이제 협의체가 컨트롤타워가 돼 종합적인 운영 계획과 발전방향을 수립해야 한다. 필요시 특별법까지 마련해 분절된 바이오클러스터를 묶어 '클러스터의 클러스터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바이오산업 역사가 짧고 자원이 제한적이다. 반면 전국 바이오클러스터 수는 선진국과 비교해도 적지 않다. 바이오클러스터 숫자를 늘리기보다는 기존 클러스터를 연구개발, 사업화, 제조 등 전문성을 갖도록 집중 육성한 뒤 다른 클러스터와 유기적인 연계·협력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복지부를 비롯한 관계 부처가 민간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정용철 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