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초고속 충전기 사업 '급제동'…고속도로 충전기 입찰 포기

현대차그룹 초고속 충전기 브랜드 '이피트(E-Pit)'
현대차그룹 초고속 충전기 브랜드 '이피트(E-Pit)'

현대차그룹이 초급속 충전기 '이피트(E-pit)' 보급에 급제동을 걸었다. 단독 입찰로 사실상 수주가 확정됐던 고속도로 초급속 충전기 사업을 포기한 것으로 확인됐다. 사업제안서를 제출한 지 불과 며칠 만에 발을 빼면서 배경에 대해 업계 관심이 쏠린다.

9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는 최근 한국도로공사에 입찰 포기 의사를 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4일 진행된 사업제안서 프리젠테이션(PT) 평가를 수일 앞두고 이뤄졌다.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는 현대차그룹이 지난 2021년 경영권을 확보한 전기차충전서비스 업체다. 현대차그룹은 이 회사를 통해 초고속 충전기를 보급하고 있다.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는 한국도로공사가 발주한 '2024년 전기차충전기 설치·운영 민간사업자 공모'에 참여했다. 이는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 89개소에 200kW 이상 급속충전기 404기를 구축하는 사업으로, 서울경기·대전충남·전북·광주전남·창녕밀양(1단위), 강원·충북·대구경북·부산경남(2단위)으로 나눠 추진됐다.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는 2단위에 단독 입찰했다. 사업 규모는 46개소, 209기에 달한다. 현대차그룹이 내년까지 구축하겠다고 밝힌 목표(500기)의 41.8%에 해당하는 규모다. 그동안 전기차 충전기 보급 사업을 영위해왔다는 점, 대기업 계열사로 자본력이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무난한 사업 수주가 예상됐다.

하지만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는 내부 전기차 충전기 보급 전략에 대한 전반적 재검토가 필요해 수주를 포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현대차·기아,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운영), 현대엔지니어링(인프라 구축)이 협력해왔으나 이번 전기차 충전기 사업 진행에 협업 문제도 발생했다. 현대차그룹 측은 입찰 포기 이유에 대해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업계에서는 부지 사용료도 부담으로 작용했다고 보고 있다. 사업자는 매출액에 투찰한 사용료율을 곱한 금액을 부지 사용료로 내야 한다. 일반적으로 20%대로 알려졌다. 이번 사업은 투자 규모가 클 뿐만 아니라 전기차 판매 둔화, 전기차 충전기 보조금 축소 등으로 인해 높은 부지 사용료가 부담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초고속 충전기 수요가 높은 고속도로 휴게소 대상 보급 사업을 포기하면서 향후 사업에도 부정적 영향이 있을 전망이다. 한국도로공사는 2단위에 대한 재공고를 낼 예정이지만 재참여 시 패널티가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는 한국도로공사가 2단위의 원활한 사업자 모집을 위해 부지 사용료 부담을 낮출지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이 경우 당초 참여하지 않았던 채비, 이브이시스, 이지차저, SK일렉링크 등까지 뛰어들며 경쟁이 치열해질 수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올해 사업은 예년 대비 규모가 더 컸다”며 “대규모 사업을 포기했기에 자체적으로 이피트 보급 목표까지 채우는 데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도로공사는 1권역 우선협상대상자로 SK시그넷을 선정했다.

고속도로 휴게소 전기차충전기 사업 현황 - 한국도로공사는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가 입찰을 포기한 2단위 사업자 선정을 위한 재공고 일정을 검토하고 있다.
고속도로 휴게소 전기차충전기 사업 현황 - 한국도로공사는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가 입찰을 포기한 2단위 사업자 선정을 위한 재공고 일정을 검토하고 있다.

박진형 기자 jin@etnews.com, 김지웅 기자 jw0316@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