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대를 졸업한 학생이 일반대에 편입해 창업하는 사례가 많다. 이 학생이 전문대를 졸업했지만 창업 성과는 일반대만 인정받는다.”
창업 사각지대에 있는 전문대에 실효성 있는 창업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전문대가 실용 학문을 제공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창업 분야를 지원하면 지역 정주형 인력을 양성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현재 전문대 창업을 지원하는 정부 사업은 '교육부 창업교육 혁신 선도대학(SCOUT)'과 '중기부 로컬콘텐츠 중점대학'이 있다. 두 사업 모두 지난해 신설된 사업으로 이전까지 사실상 전문대 창업 지원 정책은 없었다. 전문대 관계자들은 전문대 창업 교육을 직접 지원하는 정책이 신설된 것이 고무적이긴 하다면서도 지원 규모와 지원 대학 수를 늘려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SCOUT 사업은 대학, 지역 간 창업교육 격차 해소와 지역 창업 주체와의 연계를 강화하는 목적으로 2023년 신설됐다. 사회진출이 빠른 전문대 특성을 고려해 전문대 유형을 만들었다. 교육부는 지난해 일반대 5개, 전문대 3개 컨소시엄을 선정했다. 각 컨소시엄당 일반대 7억5000만원, 전문대 4억원을 지원한다. 올해는 지난해 선정되지 못한 수도권과 충청지역 전문대 컨소시엄 2곳을 추가로 뽑았다.
A대 산학협력단장은 “SCOUT 사업은 교육과 컨설팅 부분에 직접 투자할 수 있어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사업 시작 단계기 때문에 참고 모델을 잘 만들어 운영하면 추후 사업비가 늘어날 수 있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B전문대 산학협력단장은 “뷰티, 조리 등 전문대에서만 가능한 창업 분야가 많지만 교육만으론 창업자를 키워내기 쉽지 않다”며 “부처에서 사업을 선정할 때 지표만을 참고하는데 전문대는 창업 지표만 놓고 봤을 때 애매한 부분이 많아 창업 관련 사업 선정에 어려움이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지난해 중기부가 신설한 로컬콘텐츠 중점대학 사업의 경우 전문대 비율을 더 늘려야 한다는 주문이 나온다. 이 사업은 지역문제 해결 의지와 지역 맞춤 콘텐츠 개발 역량이 우수한 대학을 활용해 지역 기반 예비 창업자를 양성한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 참여 대학은 총 12곳으로 늘었지만, 12개 대학 중 전문대는 서울예술대와 경남정보대 2곳뿐이다.
한광식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산학교육혁신연구원장은 “이 사업만큼은 전문대 비율을 최소한 과반수로 늘려달라고 건의 중”이라면서 “이제 창업도 지역 정착 인재 양성, 기초자치단체의 문제 해결을 중심으로 봐야한다”고 덧붙였다.
이지희 기자 eas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