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중장년층 직무 연속성 확보해야

인구 감소가 노동시장의 급격한 변화를 불러오고 있다. 생산가능인구 감소가 국가적 문제로 떠올랐는데 특히 활발하게 경제활동을 하는 25~54세 인구 감소세가 가파르다. 반면 55세 이상 중장년층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내놓은 '직무 분석을 통해 살펴본 중장년 노동시장의 현황과 개선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5년간 55세 이상 인구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50.9%에서 53.8%로 2.9%p 증가했다. 79.3%에서 80.0%로 0.7%p 상승한 젊은 연령층보다 증가세가 가파르다.

문제는 중장년층 경제활동이 늘어나지만 이들의 직무 성향이 반복적이고 신체적인 직무 위주로 구성된다는 점이다. 분석, 사회, 서비스 직무성향은 50대 이후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복적이고 신체적인 직무는 주로 저숙련·저임금 일자리일 경향이 높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이 같은 상황이 벌어지는 것은 직무 연속성이 유지되기 않기 때문이다. 50세 이후 퇴직이나 이직을 통해 새로운 일자리를 찾을 경우 기존의 분석적 업무가 아닌 반복적이고 신체적인 업무를 하는 경우가 많다는 의미다.

이로 인해 중장년층은 고용 불안과 재취업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분석, 사회 직무 등 고임금·고숙련 직무를 수행할 능력을 보유했음에도 해당 일자리에 채용되지 못하는 근로자가 많다는 것은 사회적 손실이다.

미국은 우리나라와 다르다. 50대 이후에도 직무성향이 거의 변하지 않는다. 중년 이후에도 분석적 업무를 수행하는 근로자의 비중이 거의 감소하지 않고 비슷하게 유지된다. 인적자원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다는 의미다.

인구 감소와 기대수명의 증가로 중장년 경제활동 참가율은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효과적 인적자원 활용과 국가 생산성 증대를 위해 중장년층의 직무 연속성 확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기계적인 정년 연장보다는 정년 퇴직 후 재고용 제도가 한 방안이 될 수 있다. 고용주는 퇴직자의 숙련된 업무 능력을 활용한다는 장점이 있다. 근로자는 임금 조정을 감수해야 하지만 정년 이후에도 하던 업무를 계속 할 수 있다.

인구 감소에 대한 대응 못지않게 중장년층의 경제활동 지원 제도 마련도 중요하다. 우리가 안고 있는 노동시장의 문제들을 면밀히 들여다봐야 할 때다.

[사설]중장년층 직무 연속성 확보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