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 기차역서 AI 카메라로 승객 '감정' 수집… “인권침해 논란”

영국 런던의 유스턴역. EPA=연합뉴스
영국 런던의 유스턴역. EPA=연합뉴스

영국 런던의 주요 기차역에서 인공지능(AI) 카메라로 승객의 연령대나 성별뿐 아니라 감정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했던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다.

19일(현지시간) 영국 더타임스에 따르면 영국 철도 공기업인 네트워크 레일은 2022년부터 런던 워털루·유스턴역, 맨체스터 피카딜리역, 리즈역, 글래스고역, 레딩역 등지에서 AI 카메라 시스템을 시범 운영해왔다.

이 시스템은 승객의 인구 통계 정보를 기록하는 한편 아마존의 인식 소프트웨어를 통해 행복과 슬픔, 배고픔 등의 감정까지 분석해냈다. 당초 이 카메라는 무단 침입, 과밀, 자전거 절도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해 인공지능을 도입하는 테스트를 위해 설치됐다.

시스템을 구축한 협력업체 퍼플 트랜스폼의 그레고리 버틀러 대표는 “감정과 인구학적 분석 부분은 얼마 지속하지 못했다”며 “승객에게 안전한 경험을 제공하려는 애초 목적과 부합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사실은 시민단체 빅브러더워치(BBW)의 정보 공개 청구로 알려졌다. 이 단체는 이와 관련한 보고서를 내고 정보보호 당국인 정보위원회(ICO)에 이 사안을 조사해달라고 요청했다.

네트워크 레일이 이 시스템을 언급한 것은 웹사이트의 사생활 보호 공지가 유일하다. 이 공지에는 “2022년부터 다수 역에서 분석 능력이 있는 카메라 시스템을 시범 운영할 것”이라는 내용이 포함됐다.

기차역에 설치된 AI 카메라 시스템은 범죄 예방이라는 순기능도 있었다. 자전거 절도가 기승을 부렸던 레딩역에서는 2022년 11월 카메라 시스템 설치 이후 1년 만에 절도 건수가 72% 급감했다.

그러나 시민단체나 인권 전문가 등은 철도 회사가 승객 동의 없이 인구학적 특성과 감정 정보를 수집한 데 인권 침해 소지가 있다고 지적한다.

이원지 기자 news21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