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오픈랜(개방형 무선접속망) 실증사업을 내년부터 특화망과 공공망으로 확대한다. 올해 5세대(5G) 이동통신 상용망에서 먼저 과제를 시작해 공장·건물 내 특화망(이음5G)과 정부기관 공공망까지 실증 환경을 넓혀나간다는 구상이다. 정부 지원 예산도 기존보다 7배가량 늘린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과기정통부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추진하는 내년도 오픈랜 실증단지 조성사업 예산을 약 56억원으로 잠정 편성했다. 올해 5G 상용망 대상으로 추진한 공모 예산 8억원과 비교해 7배가량 증액했다. 이는 내년부터 오픈랜 실증과제를 상용망, 특화망, 공공망으로 넓힌 영향이다.
이번 과제는 국내 기업의 오픈랜 장비·솔루션 개발과 상용화 지원을 위해 마련됐다. 실제 망 운용 환경에서 실증을 통해 기업의 시장 진입을 촉진하고 글로벌 진출을 위한 레퍼런스를 확보하는 것이 목적이다.
오픈랜은 단일 제조사 장비로만 구성된 5G 무선망을 서로 다른 제조사 장비로 구성해도 상호호환될 수 있도록 연동방식을 개방화·가상화·지능화하는 기술이다.
공급망 다변화 정책에 따라 미국·영국·일본 등 주요국을 중심으로 상용화 경쟁이 가속하고 있으며 6G 시대 핵심기술로 꼽힌다. 그러나 국내서는 수요처와 사업 기반이 부족해 시장 활성화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NIA는 올해 상용망에서 오픈랜 기술과 성능을 시험할 수 있도록 실증단지 조성사업을 진행하기로 했다.
상용망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 3사가 이번 실증과제 수행기관으로 선정됐다. SKT는 단독으로 참여하며, KT는 쏠리드와, LG유플러스는 삼지전자·금오공대와 컨소시엄을 꾸렸다. 3사는 올해 안에 각각 오픈랜 실증환경을 구축, 개소해야 한다.
다만 올해는 예산 삭감 영향으로 공모사업 정부출연금은 8억원에 그쳤다. 컨소시엄별 각 2억7000만원 수준이다. 기업이 매칭펀드 방식으로 사업비를 더하지만 기대에 크게 못 미친다는 지적이 많았다. 이에 내년부터는 실증 범위를 넓히고 예산도 대폭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특화망은 상용망과 달리 특정 구역과 서비스에 특화된 맞춤형 네트워크다. 정보기술(IT) 기업, 건설사, 시스템통합(SI) 기업 등 다양한 업체가 제조, 물류, 스마트시티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이를 활용하고 있다. 이미 망 구축이 끝난 상용망과 달리 최근 구축되고 있는 만큼 오픈랜 도입이 유리하다. 정부부처 공공망에서도 특정 통신장비에 종속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NIA 관계자는 “특화망 사업자의 경우 투자·운영 비용 절감과 다양한 망 구조 지원 측면에서 오픈랜 잠재 수요가 많다”면서 “기업간거래(B2B)와 정부사업(B2G) 영역에서 오픈랜 활성화 지원을 위한 실증사업 공모를 내년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준호 기자 junho@etnews.com
-
박준호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