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KB손해보험, 업계 최초 금융마이데이터 '공공정보' 탑재…2.0 시대 시동

KB손해보험 CI
KB손해보험 CI

KB손해보험이 보험업계 최초로 금융마이데이터 공공 정보를 활용한 서비스를 선보인다. 향후 보험과 연계로 마이데이터 2.0 시대 금융소비자 편익을 제고한다는 계획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KB손보는 이날 KB손해보험+다이렉트앱에 '마이 공공정보' 서비스를 신규 출시했다. 기존에는 마이 자산, 마이 보험, 마이 건강 세가지 서비스가 제공됐다.

'마이 공공정보'에선 금융마이데이터 공공 정보를 활용해 △국세·지방세 납세증명서 △연금산정용 가입내역확인서 △건강·장기요양보험료 납부확인서 등 행정정보 12종을 한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해당 서비스는 KB손보 가입자가 아니어도 마이데이터 회원가입을 통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공공 정보 활용으로 금융소비자는 국세청, 국민연금공단, 행정안전부, 국민건강보험공단 등에서 각각 조회해야 했던 행정정보를 KB손해보험 앱으로 간편하게 조회할 수 있게 됐다.

KB손보는 마이데이터 2.0 시대를 맞아 향후 조회할 수 있는 공공정보를 확대하고 본업인 보험과 연계도 추진한다. 특히 공공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행정서류 56종에 제출 간소화 서비스를 도입할 예정이다.

앞으로 KB손보 마이데이터를 이용자는 보험 및 대출 등 금융상품 이용시 서류제출 및 확인 과정이 간편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예컨대 본임부담상한제 대상 보험 가입자가 보상을 위해 서류 제출시, 건강·장기요양보험 납부확인서를 따로 발급받고 낼 필요가 없어진다. 자동차보험 가입이나 보상 때에도 주민등록초본, 자동차등록원부 등 서류 확인이 앱을 통해 자동으로 진행돼 절차가 간소화되는 식이다.

개인대출에서도 공공 마이데이터를 활용하면 납세증명서를 따로 제출하지 않아도 돼 소비자 편익이 크게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KB손보는 지난 2021년 손해보험업계 최초로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출시한 데 이어 공공 마이데이터를 처음으로 도입하면서 보험업계 데이터 활용 선두 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앞서 금융위원회가 금융소비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마이데이터 2.0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하면서 KB손보 신규 서비스 확대에도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지난 4월 금융당국은 공공정보를 활용한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확대해, 소상공인 및 개인사업자 등의 금융자산과 경영 관리를 지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마이 공공정보 서비스를 개발한 KB손해보험 관계자는 “기존에 서류 발급과 제출까지 번거로웠던 금융 과정을 공공 마이데이터를 활용해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며 “조회 가능한 정보들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 말했다.

KB손해보험+다이렉트 앱 페이지 캡처
KB손해보험+다이렉트 앱 페이지 캡처

박진혁 기자 s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