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안전한 온라인 환경을 만들기 위해 책임감 있는 인공지능(AI) 생태계 구축에 나섰다.
18일 JW메리어트에서 열린 '세이퍼 위드 구글' 간담회에 참석한 학계와 업계 전문가들은 AI 기술 적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및 정보보호 문제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최근 한국의 보안 관련 관심도는 13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구글 트렌드 검색어 분석 자료에 따르면 한국은 2023년 '피싱' '멀웨어' '랜섬웨어' 키워드를 각각 가장 많이 검색한 국가다. 지난해 전세계에서 '사기'를 가장 많이 검색한 상위 10개국에도 포함됐다.
곽진 아주대 교수는 AI 기술의 △상호작용 특성 △양면성 △활용능력 격차 등에 대해 설명하며 각 산업군별 AI 정책이 달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AI의 양면성에 따라 지나친 규제는 지양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곽 교수는 “규제라는 것은 어떤 문제가 발생했을 때 보호를 할 수 있는 최소한의 조치”라며 “공격자 입장에서는 원하는 목표만 달성하면 되니 규제를 신경쓰지 않지만 방어자는 규제로 인해 예상치 못한 위협을 겪을 수 있다”고 말했다.
아만다 워커 구글 보안·개인정보보호 연구개발 총괄은 구글의 사이버 보안 정책과 기술을 소개했다. 생성형 AI인 '제미나이 1.5 프로'를 탑재한 '구글 위협 인텔리전스'는 콘텍스트 창 내 최대 100만개 토큰까지 지원, 보안 전문가가 멀웨어를 효과적으로 퇴치할 수 있도록 돕는다.
아울러 지메일은 AI 기반 스팸 필터링 기능을 활용해 자동으로 분당 약 1000만개 스팸을 걸러낸다. 머신러닝(ML)을 활용해 전세계 매일 99%의 스팸메일을 차단하고 1억 번 이상의 피싱 시도를 차단했다.
워커 총괄은 “공격은 단 한 번의 성공으로 충분하지만 방어는 모든 순간이 중요하며 끊임없는 경계와 완벽함을 요구한다”며 “AI는 이같은 딜레마를 해결하고 효과적으로 방어할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손지혜 기자 jh@etnews.com
-
손지혜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