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원자력학회가 핀란드 등이 도입한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 기술 대비 면적은 70%, 경제성은 30% 이상 절감하는 대안책을 제시했다.
한국원자력학회는 29일 세종시에서 '한국형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 솔루션'을 공개했다.
학회가 제안한 대책은 사용후핵연료를 구리와 주철로 만든 이중 처분용기에 담아, 지하 500m 깊이의 화강암반에 시설에 처분하는 게 골자다.
이는 핀란드, 스웨덴이 도입한 방식과 일치한다. 여기에 처분 용기의 두께, 담을 사용후핵연료 다발 수, 처분공 이격거리 등을 우리나라 현실에 맞게 효율화한 게 핵심이다.
고준위방폐물을 처분하는 지하 500m 환경에선 용기 부식이 사실상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해외가 준용하는 용기 두께 기준(5㎝)이 과도하다는 게 학회 측 설명이다. 이를 감안해 두께를 1㎝로 현실화할 수 있다고 했다.
이와 함께 장기 냉각한 고준위방폐물은 처분 용기 처분 다발수를 최적화하고 처분공 이격을 줄여도 안정성에 문제가 없다고 덧붙였다.
학회는 이 방안을 적용하면, 원자력안전위원회 고시 제2021-21호의 안전목표치를 만족하는 것은 물론 경제성까지 확보할 수 있다고 했다. 동일 물량을 처분한다고 가정했을 때, 핀란드의 심층 처분 개념을 그대로 적용했을 때보다 처분장 면적은 70% 이상 줄고, 경제성은 30% 이상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학회 측은 지하연구시설(URL)을 건설하고 안전성 평가 결과를 확보하면 고준위방폐장 사업 기간을 정부 계획 대비 10년 가량 단축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학회가 제시한 로드맵에 따르면 처분장 운영 허가 승인 예상일은 2050년이다.
정범진 학회장은 “이번 해결책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5명의 원자력 전문가로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약 6개월간 국내외 연구 결과를 분석하고 학회 내·외부 의견수렴을 거쳤다”면서 “학회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큰 방향만을 정했다. 우리나라에 적합한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사업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논의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최호 기자 snoop@etnews.com
-
최호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