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AX 키워드는 'CEO 의지'…“AI 교육부터 시작해야”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중소기업 현장에 인공지능(AI) 도입을 늘리기 위해선 최고경영자(CEO)의 AI 인식 확대가 중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중소기업 CEO의 AI 교육 기회를 확대하고 컨설팅, 자금지원, 데이터 관리 등을 망라한 통합 대책이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은 최근 '중소기업의 AI 도입·활용 사례분석과 시사점' 보고서를 공개했다. 올해 통계청이 실시한 기업 규모별 AI 도입 비중 조사에 따르면 대기업 도입률은 9.2%지만 중소기업은 2.9%에 불과했다. AI 활용 등 디지털전환(DX)을 따라가지 못할 경우 만성적인 생산성 격차는 더욱 커질 것으로 우려됐다.

중기연은 제조업, 정보통신기술(ICT), 과학기술 서비스, 헬스케어 등 AI 도입 업체 네 곳의 사례를 분석했다. 조사에 따르면 중소기업 CEO의 강한 의지가 AI 도입 촉진 요인으로 꼽혔다. 세 개의 공장을 스마트공장으로 전환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업체는 도입 과정에서 40~50대 경영진 반대에 직면했다. 데이터 전처리 소요기간이 길고, 공장 유지·보수도 까다롭기 때문이다. 이를 극복하고 스마트공장으로 전환하자 업무 효율성 향상을 경험했다.

보고서는 “AI에 대한 CEO 이해가 없다면 성공적인 도입과 운영에 한계가 존재한다”면서 “중소기업 CEO와 2세에 대한 AI 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중소벤처기업부의 중소기업 스마트서비스 사업, 스타트업 AI 기술인력 양성사업,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AI 바우처 사업 등 정부 AI 도입 지원사업에 대해선 대부분 만족도가 높았다. 다만 데이터 분석 장비, 데이터 정교화, 인재확보 등 업종에 따라 필요한 AI 역량이 천차만별인 만큼 세분화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 주요국은 AI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해 일찌감치 세분화된 지원책을 내놓았다. 미국은 SBIR 정책으로 헬스케어 분야 중소기업이 AI 기술을 활용해 의료 솔루션을 개발하도록 자금을 제공했고, 일본은 고객 맞춤형 마케팅 개발과 같이 소매업체의 AI 기술 활용을 돕고 있다. 캐나다는 중소기업 CEO와 관리자에게 AI와 디지털 기술 교육을 제공해 기술 이해도를 높이고 있다.

우리 정부 역시 초격차 AI 스타트업 레벨업 전략 등을 발표하며 고성장 AI 분야 스타트업을 육성하고 있지만, 중소기업 AI 교육 등 현장 수요를 총망라한 정책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지적이다.

보고서는 “직원들이 디지털 역량과 경험을 보유하고 있고, AI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할 때 AI 도입에 대한 저항이 크지 않았다”면서 “AI 도입·활용에 따라 변화되는 조직 문화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마무리했다.

송윤섭 기자 sy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