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기획] AI 전문가 “한국, AI 3대 강국 도약 가능”

국내 AI전문가 73명 설문조사
국내 AI전문가 73명 설문조사
전문가 73명 중 44% 긍정 전망
규제완화·인재확보 뒷받침돼야
기술수준은 10점 만점에 6.7점
53% “AI버블론 동의못해” 일축

국내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의 인공지능(AI) 기술력을 평균 6.7점으로 평가했다. AI 선진국 경쟁력을 10점으로 가정했을 경우 다소 냉정한 결과다. 한국이 AI 분야에서 일정 수준 기술력을 보유했으나 선진국에 비해 아직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다만 전략적 투자, 규제 완화, 인재 확보 등 삼박자가 뒷받침된다면 세계 3대 AI강국(G3) 도약 가능성은 높게 전망했다.

전자신문이 창간 42주년을 맞아 국내 AI 전문가 73명을 대상으로 8월 19일~30일까지 설문조사를 한 결과, 가장 많은 응답자인 63%가 우리나라의 AI 기술 점수를 6~7점 수준이라고 답했다. 이어 응답자의 21.9%는 8~9점을 꼽았다. 이들은 우리나라 AI 기술력이 선진국과 가까워졌다고 인식했다.

전체 응답자의 점수를 평균으로 환산하면 6.71점이다. 일정 수준 기술력을 인정했다고 볼 수 있지만 전반적으로 여전히 선진국 대비 기술 완성도 차원에서는 부족하다는 점도 반영한다.

김태훈 서강대 교수는 “아직은 시장 초기라 AI 선진국과 기술 격차가 크게 느껴지지 않을 수 있으나 지금의 골든 타임을 놓친다면 영원히 간극을 좁히기 어려워질 수 있다”며 “국내 기업들이 한국어의 구조적 특성과 문화를 잘 이해하고 있는 만큼, '소버린 AI'에 집중해 공격적으로 서비스를 내놔야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세계 AI 시장은 미국이 생성형 AI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빠르게 추격하며 AI 주도권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지난해 기준 주요 AI 모델의 61개가 미국에서 개발됐다. EU(21개)와 중국(15개)을 크게 앞섰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가 AI G3 도약도 가능하다고 내다봤다. 향후 기대치가 높다는 점이다. 응답자 43.9%는 빠른 시일내 실현 가능성을 높게 봤다. 주된 배경에는 AI 생태계에 필요한 △전력 △반도체 △AI반도체 △AI데이터센터 △클라우드 △(소버린) 생성 AI △활용생태계 등 모든 요소에서 경쟁력을 갖췄다는 점을 꼽았다.

이들은 AI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선결과제도 제언했다. △정부의 AI·데이터 법·규제 완화 △ AI R&D 세제혜택 지원 △국내 인력 육성 △정부주도 AI과제 발굴 및 인프라 지원 순으로 언급했다.

한편 올해 초부터 불거진 'AI버블론(거품론)'에 대해서는 절반이상이 동의하지 않았다. 국내 전문가들도 인식차를 보였다. 53.4%의 전문가는 AI 버블론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31.9%는 동의했다.

하정우 네이버 퓨처AI센터장은 “아직 킬러 애플리케이션이 많지 않은 상황이지만 생산성 향상은 검증이 돼 이미 상당한 규모의 시장이 만들어져 매출이 나오고 있다”며 “비용 구조는 매우 빠르게 개선될 것이며, 챗GPT를 기준으로 해도 겨우 2년도 채 안된 상황이라 버블을 논하는 것은 과하다”고 말했다.

다만 지나친 낙관론은 경계했다. 과장된 기대 속에서 AI 기술이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낙관론은 오히려 기술의 한계나 도전에 대한 관심을 흐리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표1(원형 그래프)〉AI 선진국을 10점으로 봤을 때 우리나라의 기술 수준.

10점 1.4%

9~8점 21.9%

7~6점 63%

5~4점 13.7%

4점 이하 0%

〈표2(원형 그래프)〉 정부가 목표로 내건 AI G3 도약 실현가능성.

매우 동의한다 11%

동의한다 32.9%

보통이다 38.4%

동의하지 않는다 12.3%

매우 동의하지 않는다 5.5%

성현희 기자 sungh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