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기술로 중대재해 막자”…中企 산재 예방 R&D 신설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출처=게티이미지뱅크

디지털 기술로 중소기업 제조현장의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정부 연구개발(R&D) 사업이 신설된다. 중대재해처벌법(중처법) 적용 범위 확대 등으로 늘어난 중소기업의 안전 확보 부담을 줄일 수 있을지 주목된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중소벤처기업부는 디지털 기반 중소제조 산재 예방 기술개발 사업을 내년 새롭게 추진한다. 상대적으로 영세한 중소기업 사업장 작업 환경을 개선할 디지털 기술을 마련하는 사업이다. 그동안 R&D 사업이 신기술 개발·상용화와 공정 품질·효율성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안전 확보에 초점을 맞춘 것은 이례적이다.

중기부 관계자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중소제조업 현장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신규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면서 “구체적인 과제 계획과 추진 일정 등은 검토하는 단계”라고 설명했다.

이번에 산재 예방 R&D 사업이 편성된 것은 산업현장 내 안전사고가 여전히 끊이지 않기 때문이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승인일 기준) 산업재해자 수는 6만8413명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140명(3.2%) 늘었다. 최근 들어 산업안전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가했음에도 재해사고 근절은 커녕 그 수가 증가했다.

유형별로는 넘어짐, 떨어짐, 끼임, 부딪힘 등이 절반 가까이 차지했다. 영세 사업장은 자동화 완성도와 안전장비 구입 비율이 떨어지다 보니, 예방할 수 있는 사고가 번번이 일어난다. 이에 증강현실(AR), 센서, 사물인터넷(IoT) 등 디지털 기술로 사고 발생 자체를 막자는 것이 이번 R&D 사업 추진 배경이다.

중처법 처벌 위험에 놓인 중소기업 사업주 부담 경감도 기대 요인이다.

사업주와 경영책임자에게 안전·보건 확보 의무를 부여한 중처법이 지난 2022년 1월부터 시행되면서 주요 대기업들은 산업재해 예방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LG CNS와 한화솔루션은 열화상 카메라와 인공지능(AI) 음원 분석 등을 연동한 관제 시스템을 선보였고, KT는 작업자의 위험구역 진입을 감지하는 AI 가상펜스를 개발했다. 용접 라인에 부착된 센서가 관리자 감지 시 라인을 멈추게 하는 기술은 일찌감치 등장했다.

그러나 경제적 여력이 취약한 중소기업에겐 먼 이야기였다. 특히 올해 1월 27일부터 50인 미만 사업장으로 중처법 적용 대상이 확대되면서 중소기업계는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지난 5월 실시한 실태조사에 따르면 50인 미만 소기업 77%가 중처법 의무사항을 준수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안전전문 인력 확보를 구체적인 어려움으로 꼽은 만큼, R&D 사업으로 개발된 산재 예방 디지털 기술의 현장 적용이 이를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 산업용 확장현실(XR) 솔루션 기업 대표는 “중소제조업 내 외국인 근로자 비율이 증가하며 의사소통 등의 문제로 안전사고 위험이 더 늘어났다”면서 “디지털 기술로 정부와 민간이 함께 산업재해를 예방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송윤섭 기자 sy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