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헬스, '특수분류' 지정 추진…의료AI 등 첨단영역 포함

정부가 바이오헬스 산업을 '특수분류'로 지정, 세분화된 국가통계 체계를 수립한다. 디지털헬스케어, 의료 인공지능(AI) 등 국가표준산업분류(KSIC)에 포함되지 않았던 신산업 영역까지 바이오헬스에 담아 정책 개발 근거로 삼겠다는 취지다.

16일 정부기관에 따르면 보건복지부와 보건산업진흥원은 바이오헬스 영역 '산업특수분류' 지정을 추진 중이다. 내년 지정 완료를 목표로, 연말까지 분류체계 개발과 함께 시범조사 등을 실시할 계획이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산업특수분류는 특정 산업 영역을 통계청 국가표준산업분류 외에 별도 기준에 따라 세분화하는 통계체계다. 산업이 융·복합 등으로 빠르게 변해 기존 국가통계로 집계가 어려운 경우 정부가 특수분류로 지정, 시의적절한 데이터를 생산·활용토록 허용한다. 현재 특수분류로 지정된 영역은 총 22개다.

바이오헬스 산업이 특수분류로 지정되면 기존 국가표준산업분류와 별도로 새로운 기준과 범위에 따라 산업 통계를 산출할 수 있다. 정부는 디지털헬스케어나 AI를 활용한 의료 솔루션, 서비스 등까지 포괄하는 새로운 기준을 정립, 통계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이르면 내년 지정을 완료 2026년부터 조사에 착수할 가능성이 높다.

현재 바이오헬스산업 분류구조는 △제약 △의료기기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관련 연구개발 △의료서비스가 핵심이다. 급격히 커지는 디지털헬스케어나 의료AI 등은 포함되지 않아 정확한 산업 통계를 산출하기가 어렵다. 또 기존 국가통계가 사업체 주산업에 근거하는 만큼 IT 등 타 영역에서 바이오헬스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한계도 존재했다.

바이오헬스 산업이 특수분류가 될 경우 세밀한 산업 규모 파악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바이오헬스 시장에 진출한 타 산업을 포함한 고용, 수출입, 투자 등 기반 데이터를 확보해 정책 개발이나 예산 등에 활용할 수 있다. 통계 분류가 업종구분은 물론 지원대상 선정, 국가주도 산업 전략 발굴 근거가 되는 만큼 산업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정부는 바이오헬스 분야를 국가 핵심 성장동력으로 선정해 집중 투자하고 있다. 최근에는 대통령 직속 기구로 국가바이오위원회 출범도 추진 중이다. 국가 차원의 바이오헬스 '큰 그림'을 그리기 위해서도 정확한 통계 데이터는 필수다.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은 “IT, 제조 등 다양한 영역에서 바이오헬스 시장 진출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기존 국가통계로 파악하기 어려운 그레이존이 존재했다”면서 “특수분류 지정으로 확장되는 산업을 정확히 파악하고, 세밀한 기업 지원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정용철 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