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협 굿인터넷클럽 “플랫폼 규제, 소비자 후생 감소”

한국인터넷기업협회는 3일 서울 서초구 본사에서 '플랫폼은 공공재?'를 주제로 굿인터넷클럽 토론회를 개최했다. 왼쪽부터 박성호 인기협 회장, 계인국 고려대 교수, 김상준 이화여대 교수, 홍현우 충남대 교수. 〈자료 인기협〉
한국인터넷기업협회는 3일 서울 서초구 본사에서 '플랫폼은 공공재?'를 주제로 굿인터넷클럽 토론회를 개최했다. 왼쪽부터 박성호 인기협 회장, 계인국 고려대 교수, 김상준 이화여대 교수, 홍현우 충남대 교수. 〈자료 인기협〉

과도한 플랫폼 규제가 기업과 소비자 후생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인터넷기업협회가 3일 서울 서초구 본사에서 개최한 굿인터넷클럽에서 전문가들의 지적이 이어졌다.

전문가들은 플랫폼 서비스를 공공재로 보는 시각이 이용자 후생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계인국 고려대 교수는 “공공서비스는 법학에서 '기본 공급'이나 '생존 배려적 공급'으로 표현되며, 단순히 이용자가 많다는 것을 넘어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민간이 직접 확보하기 어려운 서비스가 이에 해당한다”면서 “이러한 점에서 플랫폼을 공공서비스로 보는 것이 어려움에도, 플랫폼이 특정의 공익목표를 달성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홍현우 충남대 교수는 “공공재는 비용을 지불하지 않은 사람도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늘어나도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특성을 가진 재화”라면서 “플랫폼 서비스가 공공재로 간주되면서 정부가 개입할 유인이 발생하며, 이는 플랫폼 기업의 투자 동기를 약화시켜 장기적으로 이용자 후생을 감소시킬 위험이 있다”고 밝혔다.

플랫폼 산업에 적합하지 않은 규제가 기업과 이용자에게 전방위로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김상준 이화여대 교수는 “플랫폼 비즈니스는 다양한 사람의 자발적인 참여와 알고리즘으로 공정성을 확보하는데서 그 정당성을 취할 수 있다”면서 “외적 영향이 과도하게 개입되면, 참여의 자발성도 알고리즘 통제의 정당성을 확보하려는 기업의 내부적 노력을 스스로 무너뜨릴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홍 교수는 “플랫폼 수수료에 대한 규제 혹은 플랫폼 고유 기술에 대한 공개와 같은 규제가 이뤄지면 이는 플랫폼 기업의 투자 감소, 기술력 감소로 이어지고 결과적으로 이용자 후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고 우려했다.

정부가 사회 후생, 정책적 여유를 기반으로 플랫폼 기반 혁신 서비스를 지원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계 교수는 “새 기술이나 사업 모델이 등장하면 모든 위험을 사전에 통제하는 것을 공익적이라 보는 시각이 있으나 기업을 통해서도 공익은 실현될 수 있다”면서 “특히 현대 사회에서 민간의 이익 추구가 공익 실현에 기여하는 다양한 사례가 존재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제도를 뛰어넘어 가치를 추구하고자 하는 것이 혁신이 되기에, 혁신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정책적 여유가 필요하다”면서 “플랫폼 시장은 철저하게 시장논리 하에서 자체적으로 인센티브 메커니즘을 고도화해 자기혁신을 할 수 있는 여지를 주는 것이 오히려 공적 가치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홍 교수는 “플랫폼을 지원 대상으로 인식하고 지원을 통해 플랫폼의 기술력을 높여야 한다”면서 “또한 플랫폼 참여자 모두 후생을 높이는 방식으로 사회후생을 개선하는 시도가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변상근 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