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움직임으로 웨어러블 기기 충전…KAIST·NTU, '100초 지속' 전류 생성 성공

국제 공동 연구진이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효율적으로 변환하는 웨어러블 기기 자가 충전 방법을 개발했다. 일상적인 움직임에서도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수확할 수 있게 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은 서동화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이 싱가포르 난양공대(NTU)의 이석우 전자공학과 교수팀과 새로운 에너지 수확 방법을 개발, 기존보다 출력을 10배 높이고 100초 이상 지속되는 전류 생성에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KAIST와 NTU 연구진은 섞이지 않는 두 전해질에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고 그 원리를 규명했다.
KAIST와 NTU 연구진은 섞이지 않는 두 전해질에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고 그 원리를 규명했다.

기존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은 순간적으로 높은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지만, 높은 내부 저항 탓에 전류가 짧게 흐르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물과 이온성 액체 전해질에 전극을 각각 담가, 이온 이동 전위차(전기적 위치에너지)를 이용한 전력 수확 방식을 개발했다.

또 이온이 전해질과 전극 계면에서 산화·환원 반응으로 에너지를 어떻게 발생시키는지 이해하고자 '제1원리 기반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양자역학 법칙을 사용한 전자 거동 계산)'을 수행했다.

그 결과 이온이 각 전해질에서 주변 용매와 상호작용하는 방식과 전해질 환경에 따른 전극 내부 주변 상호작용 에너지가 다름을 확인했다. 전해질 간 전위 차이를 설명하는 중요한 원리를 제시했다.

운동 에너지 수확 시스템 간 성능 비교.
운동 에너지 수확 시스템 간 성능 비교.

연구진은 이 시스템을 여러 개 직렬 연결하면 출력 전압을 크게 높일 수 있다는 것도 확인했다. 계산기를 작동시킬 수 있을 정도인 935밀리볼트(㎷) 전압을 달성했다. 물리 마모 없이 장시간 안정적으로 작동해 사물인터넷(IoT) 기기나 자가 충전형 전자기기에도 실용적이다.

서동화 교수는 “연구 핵심은 일상적인 움직임, 즉 저주파 운동에서도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수확할 수 있다는 점”이라며 “에너지 수확 원리를 깊이 이해해 설계 가이드라인을 도출할 수 있었고, 상용화 가능성을 크게 높였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이동훈 난양공대 전자공학과 박사과정, 송유엽 KAIST 신소재공학과 박사과정 학생이 공동 제1 저자로 참여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에 지난달 19일 자 온라인 출판됐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나노 및 소재 기술개발사업, 중견연구사업 지원을 받아 이뤄졌고,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슈퍼컴퓨터를 지원받았다.

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