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조업은 글로벌 경쟁 심화와 인건비 상승 등으로 전환점에 서 있다. 특히 중소기업은 전통적인 생산 방식에 의존하고 있어 혁신이 절실하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2011∼2021년 상장사 인건비 및 실적 추이를 분석한 결과 지난 10년간(2009∼2019년) 국내 제조업 근로자 1인당 노동비용(총급여)은 37.6% 증가했지만, 1인당 노동생산성(실질 부가가치)은 29.1% 증가에 그쳤다. 노동비용 증가율이 노동생산성 증가율을 앞지르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사업'이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고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이 운영하는 이 사업은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가 함께하는 상생형 스마트공장 사업이다. 핵심은 상생형 스마트공장을 구축해 대·중소기업이 동반 성장하고, 민간 중심 스마트공장 보급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있다.
정부는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해 IoT, 5G,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제품 설계와 생산공정 개선을 지원하고, 스마트공장 솔루션과 연동된 자동화 장비, 제어기, 센서 등의 구입도 뒷받침했다.
올해 정부와 민간은 총 410억원 예산을 마련해 407개 중소·중견기업의 스마트공장 고도화 단계 구축을 지원 중이다. 이 중 정부가 188억원, 민간이 222억원을 출연했다. 사업에는 대기업 17개사와 공기업 27개사 등 총 44개 기관이 참여했다.
특히 LG전자는 49억8000만원 예산을 조성해 41개 기업에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지원 유형은 기초 단계, 동일수준(기초 및 고도화1), 고도화1 단계로 나뉘며, 기업당 최대 6000만원에서 2억4000만원까지 지원한다. 지원 비율은 정부 30%, LG전자 30%, 참여기업 40%로 각각 구성했다. 이는 정부가 스마트공장 고도화 단계에 집중하는 전략에 따라 기초 단계를 민간과 지자체가 주도하는 사업의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정부는 지난해 9월 발표한 '신 디지털 제조혁신 추진전략'에 따라 스마트공장 고도화에 집중하고, 기초 단계는 민간과 지자체 자발적 지원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이에 협력재단은 민간과 지자체가 공동으로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하는 새로운 사업 구조를 신설했다.
스마트공장은 단순한 공정 자동화를 넘어 기업 경쟁력을 극대화하는 혁신의 시작으로 평가된다. 정부와 민간이 협력해 더 많은 중소기업이 스마트공장을 구축할 경우 글로벌 시장 경쟁력 강화가 기대된다.
새해에는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사업 정부 예산이 300억원 규모로 확대될 예정이다. 협력재단은 1월 주관기관 모집을 시작하고, 4월 도입 기업을 선정할 계획이다.
박윤호 기자 yun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