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환자가 규칙적인 운동을 유지하거나 시작하면 심장질환 위험이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은 신동욱 암환자삶의질연구소 교수 연구팀이 미국 심장학회 '심장종양학(JACC)' 최근호에 암 진단 후 운동을 유지하면 심근경색과 심부전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결과를 발표했다고 16일 밝혔다.

신동욱 교수 연구팀(정원영 펜실베니아 대학교 박사, 조인영 암치유센터 교수, 한경도 숭실대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교수)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이용해 2010~2016년 사이 암을 진단받은 환자 26만9943명을 대상으로 △암 진단 전후 규칙적으로 운동한 집단(2만7186명) △운동을 시작한 집단(4만4852명) △운동을 중단한 집단(3만649명) △암 진단 전후 모두 운동하지 않은 집단(16만7256명)으로 나눠 비교했다.
운동은 주 3회 20분 이상의 고강도로 운동하거나 주 5회 30분 이상의 중강도 운동한 경우 규칙적인 운동을 한 것으로 기준으로 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암을 진단받고도 종전과 마찬가지로 운동을 하지 않은 사람이 62%로 가장 많았다. 암을 진단받고 난 뒤 되려 운동을 그만 둔 사람도 11.4%이나 됐다. 10명 중 7명꼴로 암 진단 후 운동을 하지 않고 있는 셈이다.
암 진단 이전, 이후 모두 운동하지 않은 사람을 기준으로 연구팀은 생명을 위협하는 대표적인 심장질환인 심근경색과 심부전, 심방세동의 위험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규칙적인 운동을 암 진단 전후 모두 유지한 경우 심근경색 위험이 20%, 심부전 위험이 16% 감소했다. 또 암 진단 전에 운동을 안 했더라도 암 진단 후 운동을 새로 시작한 경우 심근경색 위험이 11%, 심부전 위험이 13% 낮았다.
암 진단 후 운동을 중단했더라도 이전에 규칙적으로 운동을 한 경우에는 심근경색 위험이 20%, 심부전 위험이 6%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인영 교수는 “치료 전후로 규칙적으로 충분한 운동량을 유지하는 환자는 10%에 불과하다”며 “운동은 암 치료 전부터, 암 치료 중, 암 치료 후까지 계속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정용철 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