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올해 빅테크, 핀테크 등 대형 전자금융업자에 대한 점검을 '컨설팅 중심'으로 수행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금융당국 차원의 검사가 이뤄지는 만큼 단순 점검이 아니라 부족한 부분은 자체 시정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다. 다만 정보 유출이나 IT장애에 대해서는 엄정 조치를 예고했다.
금감원은 27일 '2025년도 디지털·IT부문 금융감독 업무설명회'를 열고 이같은 감독 방침을 350여명의 금융회사 및 전자금융업자, 가상자산사업자 등에 전달했다. 이번 설명회는 올해 조직개편으로 신설된 디지털·IT부문의 첫 설명회다.
이종오 부원장보는 “빅테크·핀테크사에 대해서는단순 점검·지도가 아닌 컨설팅 중심의 검사를 통해 회사가 부족하거나 미흡한 부분을 자체 시정·개선토록 하는 등 조화롭고 균형감 있게 감독해 나가겠다”면서 △금융분야 인공지능(AI) 활용 촉진 △IT 운영 거버넌스 강화 △전자금융업 건전성 제고 △가상자산 규율체계 고도화 등 주요 업무계획을 설명했다.
먼저 금감원은 금융권AI 발전을 위해 가명정보와 합성데이터 등 다양한 데이터 활용 활성화를 지원하고 데이터 전문기관별로 데이터 결합 소요기간 점검 등을 실시하기로 했다. 중소형 금융회사를 위한 '금융권 공동 AI 플랫폼' 구축도 지원한다. 이와 함께 금융권 통합 AI 가이드라인(가칭)을 마련해 AI 규율 체계를 수립한다. 내부통제 강화를 위한 IT감사 가이드라인과 감독규정 해설서도 발간할 계획이다.
재해복구센터(DR)를 비롯한 전산센터 구조 개편도 추진한다. 모의해킹훈련을 정례하는 동시에 시나리오 기반 사이버위협 예방 실태점검 및 대응체계도 검토한다.
지급결제대행업(PG) 등 전금업자의 건전성 관리도 대폭 강화한다. 경영지도기준 준수현황을 반기별 대외공시하고, 미준수사에 대한 현장점검 등 확대한다. PG사의 판매자 정산자금 별도관리 관련 제도 도입을 준비하고, 선불충전금 보호실태 점검도 추진한다. 가상자산 분야에서는 2단계 법안 제정을 지원하는 동시에 업계의 추가적인 자율규제안 마련도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금감원은 이날 설명회에 이어 다음달부터는 전자금융업자 CEO 대상 간담회, 마이데이터 사업자 간담회에 이어 4월에는 권역별 최고정보보안책임자(CISO), 최고디지털전환책임자(CDO) 등과 간담회도 지속 실시하며 소통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류근일 기자 ryury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