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스퀘어 물류 자회사인 FSK L&S는 블루오벌SK의 풀필먼트센터 운영 사업을 수주했다고 17일 밝혔다. 블루오벌SK는 2022년 SK온과 포드가 50%씩 출자해 출범한 합작 법인이다.
계약 기간은 오는 2030년까지 6년이다. 2034년까지 연장 가능하다. 계약 기간 동안 BOSK 및 밴더사로부터 매년 수백억원대의 신규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올해 추진 예정인 중국·북미 반도체 낸드 물류 서비스 등 신규 사업을 발판 삼아 올해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큰 폭으로 성장시키겠다는 계획이다.
이번 계약에 따라 FSK L&S는 블루오벌SK 켄터키 1·2공장·테네시 공장 등 배터리 공장 3곳의 제조 지원을 위한 풀필먼트센터 운영을 담당한다. 블루오벌SK가 생산하는 배터리의 제조 공정 전후 물류 운영을 책임지게 된다. 예를 들어 공장 근거리에 배터리 원자재를 보관하고 생산 일정에 맞춰 필요한 만큼 공급하며 생산이 완료된 배터리를 보관하거나 검사하는 역할을 맡는다. 배터리 공장의 '전담 매니저' 역할을 하는 셈이다.
이번 계약은 FSK L&S가 미국 전기차 배터리 생산지의 핵심 거점인 '배터리 벨트'에 최초로 진출해 사업무대를 넓혔다는 데 의미가 있다는 평가다. BOSK가 짓고 있는 테네시(1개) 주 공장, 켄터키(2개) 주 공장 3곳의 생산 규모를 합하면 연 총 127GWh다. 이는 105kWh 배터리를 탑재한 포드의 픽업트럭 약 120만대를 생산할 수 있는 수준이다. 특히 켄터키 1, 2공장의 부지는 628만m2로 축구장 약 880개 크기에 달해 미국 최대 규모다.
FSK L&S는 자체 개발한 디지털 물류 플랫폼 'KEROL(케롤)'의 경쟁력을 앞세워 풀필먼트센터 운영 사업 계약을 따냈다고 했다. 풀필먼트센터 운영에 케롤을 접목하면 재고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부품을 최적의 위치에 배치하며 출하 순서를 결정하는 등 업무 프로세스를 자동화·효율화해 불필요한 재고를 줄이고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케롤은 물류 전 과정을 통합 관리하는 글로벌 ICT 물류 플랫폼이다. 재고 확인, 운송 경로 최적화 등 물류 과정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FSK L&S가 외연을 넓혀 수익성을 강화하면서 모회사 SK스퀘어의 포트폴리오 밸류업 성과도 가시화됐다. SK스퀘어는 포트폴리오별 사업 전략 점검을 통해 포트폴리오 수익성 개선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김용직 FSK L&S 대표이사는 “전통적인 물류 서비스를 넘어 데이터와 IT 플랫폼을 활용, 물류의 전 과정을 실시간 통합 관리할 것”이라며 “이를 기반으로 고객 중심의 공급망 관리(SCM) 최적화와 함께 물류비용 절감을 이뤄내는 등 물류 서비스의 디지털화를 적극 주도하겠다“고 말했다.
남궁경 기자 nk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