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관광공사와 함께 인구감소지역의 관광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 관광주민증' 서비스 운영지역을 다음 달 말부터 기존 34곳에서 44곳으로 확대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행정안전부가 2021년 10월 지정한 89개 인구감소지역의 절반 수준(49.4%)에 해당한다.
디지털 관광주민증은 지역별로 발급하는 명예 주민증으로, 발급지역에서 숙박·식음·관람·체험·쇼핑 등 여행 혜택을 이용할 수 있다. '대한민국 구석구석' 누리집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에서 발급할 수 있다.
2022년 평창과 옥천 2개 지역에서 시범운영을 시작한 이 사업은 2023년 15개 지역, 작년 34개 지역으로 대상지를 확대했다. 2022년부터 지난해 12월 말까지 누적 발급 건수는 411만 건을 돌파했다.
이번에 새롭게 참여하는 10개 기초지자체는 △강원 철원군 △충남 보령시 △전북 김제시 △전남 구례군, 곡성군, 함평군 △경북 청도군, 의성군 △경남 밀양시 △부산 동구 등이다.
이들 지역은 지난 1월 20일부터 이달까지 진행한 공모를 통해 선정됐다.
관광객은 다음 달부터 새롭게 추가된 10개 지역 총 210여 곳의 관광시설·업장에서도 할인받을 수 있다.
대표적으로 강원 철원군 한탄강 주상절리길 입장 50% 할인, 충남 보령시 대천해수욕장 스카이바이크 체험 20% 할인, 경북 청도군 프로방스 포토랜드 관람 30% 할인 등이 있다.
코레일과 함께하는 '디지털 관광주민증 특화 열차' 상품도 다음 달 말에 운영할 예정이다. 지난해 높은 관심을 받은 만큼 올해는 연 4회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김정훈 문체부 관광정책국장은 “관광주민증 참여지역과 서비스를 지속 확대하는 한편 우수 업체에 대한 인센티브를 확대하고 매력적인 혜택이 강화될 수 있는 정책 기반을 조성해 관광주민증이 진정한 국내 여행의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권혜미 기자 hyemi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