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부동산 관련 대출 잔액이 지난해 말 약 2682조원까지 불었다. 이 중 절반은 가계대출이 차지했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부동산금융 익스포저(위험노출액) 중 부동산 관련 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2681조6000억원으로 추산됐다. 전년 대비 122조1000억원(4.8%) 증가한 규모로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105.2% 수준으로 증가했다.
부동산금융 익스포저는 국내 부동산 부문 충격이 금융기관과 금융투자자 등 경제주체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손실 규모로 대출과 보증, 금융투자상품 등으로 구성된다.
가계 부동산 대출 잔액은 1년 새 3.6% 늘어난 1309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부동산 관련 대출에서 가계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48.8%에 달한다. 상업용 부동산 등 비주택 담보대출이 상가 공실률 상승 등 시장 여건 악화로 감소세를 지속했으나, 주택담보대출이 증가세를 나타냈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가계 부동산 대출 가운데 정책금융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2020년 말 17.0%에서 지난해 말 23.7%까지 꾸준히 상승했다. 일반기업 부동산 담보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기준 694조2000억원으로 집계됐다. 비주담대를 중심으로 큰 폭으로 늘면서 1년 전보다 11.3% 증가했다.

류근일 기자 ryury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