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 청양·부여 지역 주민과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지천댐 지역협의체'가 출범과 함께 본격 활동에 들어갔다.
지천댐 지역협의체는 27일 도청 상황실에서 김태흠 지사와 협의체 위원, 관계 공무원 등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첫 회의를 개최했다.
지역협의체는 지난 12일 국가수자원관리위원회에서 심의·의결한 '제1차 하천 유역 수자원 관리계획'에 지천댐(청양·부여)이 기후 대응 댐 후보지 안으로 반영됨에 따라 구성했다.
위원은 청양 주민 3명, 부여 주민 6명, 전문가 4명, 도 물관리정책과장과 청양군 기획감사실장, 부여군 환경과장 등 당연직 3명 등 총 16명이다. 위원장으로는 주민들의 추천에 따라 박철곤 한양대 갈등관리연구소장이 선출됐다.
역할은 △지천댐 기본구상 추진 여부 결정 △추진 과정에서의 주민 우려·요구사항 해소 △댐 추진에 따르는 환경적·경제적·사회적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균형 잡힌 정책 대안 마련 △댐 건설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 제시 등이다.
김태흠 지사는 “기존에는 댐을 만들 때 국가 지원금이 300억원에 불과했으나 댐건설법 시행령이 바뀌며 770억 원으로 늘어났고, 도에서도 1000억원을 추가 지원할 것”이라며 “청양·부여 지역의 관광 인프라 확충과 농축산 시설 현대화, 주거 환경 개선 등 다양한 부분에 도움을 줘 지역경제 활성화와 인구를 유입시키는 기회 만들겠다”라고 말했다.
김 지사는 또 “(환경부 장관과 통화) 청양과 부여 지역에서 환경부가 매년 시행 중인 상하수도 등의 사업 일정을 앞당겨 추진하는 한편, 우선 지원받을 수 있는 부분이 있다면 적극 고려해 달라고 요청했고, 긍정적인 답변을 받았다”라며 “환경부 사업 조기 추진 시 770억원 이상의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지사는 “댐 건설 시 수몰되는 지역 주민들을 위해서 양지바른 곳에 동네 만들어 뿔뿔이 흩어지지 않도록 하고, 농업인들은 가까운 곳에서 농사를 계속 지을 수 있게 하겠다”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이와 함께 “반대하는 분들이 참석해 논의하면 오해가 풀릴 수 있는 부분이 있을 텐데 불참해 유감”이라며 “추후 도와 양 군 실무자 등이 지천댐 건설 반대 측을 찾아 댐 건설 추진 관련 정보와 지역협의체 논의 내용 등을 전달하고, 지역협의체에 참석할 수 있도록 설득하겠다”라는 뜻을 밝혔다.
지천댐은 청양군 장평면과 부여군 은산면 일원에 저수용량 5900만㎥ 규모로 건립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대청댐(14억 9000만㎥)의 4%, 보령댐(1억 1700만㎥)의 50% 수준으로, 본격 가동 시 공급 가능한 용수는 하루 38만 명이 사용할 수 있는 11만㎥이다.
안수민 기자 smah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