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신속대응 시스템 3단계 시범사업 실시…55개 병원 참여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가 4월 1일부터 일반병동 입원환자의 상태 악화를 사전에 방지하는 '신속대응시스템 3단계 시범사업'을 실시한다고 31일 밝혔다. 기존보다 10개소 늘어난 총 55개 병원이 참여한다.

신속대응시스템은 일반병동 입원환자 중 위험 징후를 보이는 환자를 조기에 발견하고, 신속대응팀이 즉각 개입해 환자 상태 악화를 예방하기 위해 마련했다. 참여병원에는 인력 배치 수준에 따라 수가를 차등 지급한다. 신속대응시스템 참여 기관은 대응 의사·간호사 인력을 배치하고, 장비를 갖춰야 한다.

보건복지부는 2019년부터 2022년까지 1단계, 2023년부터 지난해까지 2단계 사업을 각각 시행했다. 이번 3단계 시범사업은 의료현장 실제 운영여건을 고려해 인력 운영 유연성을 확보하고, 의료장비 구성을 현실화했다.

의료자원 운영 효율화에 따라 시범사업 참여 기관은 기존 45개소(상급종합병원 32개소·종합병원 13개소)에서 55개소(상급종합병원 38개소·종합병원 17개소)로 확대했다. 새롭게 참여한 10개 기관 중 8곳은 현재 일부 기준을 충족한 상태로, 앞으로 6개월 이내에 모든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신속대응시스템 3단계 시범사업 개요(자료=보건복지부)
신속대응시스템 3단계 시범사업 개요(자료=보건복지부)

시범사업 참여 병원에 입원한 환자는 희망하는 경우 고위험 상태 여부를 지속 관찰할 수 있다. 위험 징후 발견 시 신속대응팀 또는 병동 의료진에 의해 즉시 초기 조치를 받는다. 복지부는 시범사업 확대로 더욱 많은 환자가 관찰과 조기 개입 혜택을 받아 중환자실 입실률 감소, 병원 내 심정지 발생률 감소, 재원일수 단축 등 의료 질 향상과 의료비 절감을 이끌 것으로 전망했다.

복지부는 오는 2027년 말 신속대응시스템 3단계 시범사업이 완료되면 그간 성과평가를 바탕으로 본사업 전환 여부를 결정한다. 본사업 추진 시에는 환자 안전을 지키고 위험 상황에 신속히 대응하면서도, 의사·간호사 팀 진료 등 의료기관 여건에 맞춰 인력 운영을 탄력적으로 할 수 있도록 성과 지원 강화를 검토한다.

이중규 복지부 건강보험정책국장은 “이번 시범사업 확대로 보다 많은 환자에게 안전하고 질 높은 입원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앞으로도 환자 안전을 강화하고, 이에 대한 의료진 노력에는 합당하게 보상하겠다”고 말했다.

송윤섭 기자 sy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