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부터 전면 시행된 고교학점제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현장 중심의 전면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교육위원회 강경숙·김문수·김준혁·문정복·백승아 의원과 ·는 31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교육부에 △미이수 제도 포함 고교학점제 전면 재검토 △ 교사 정원 확충 및 학생 절대평가 체계 도입을 요구했다.
강경숙 의원은 “현재의 고교학점제는 학생에게는 무한경쟁을 교사에게는 과도한 업무 부담을 , 학부모에게는 불안을 안기는 실패한 정책”이라며 “교육부의 탁상행정으로 학교 현장은 출결 처리부터 졸업 요건까지 혼란에 빠졌다”고 지적했다.
![[에듀플러스]강경숙 의원 등 국회 교육위원·교사노조연맹·행복한교육학부모회, “고교학점제 현장 중심 전면 재검토 필요해”](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03/31/news-p.v1.20250331.cac3415c56254161b115eba17552aedf_P1.png)
앞서 교사노조연맹이 전국 고등학교 교사 303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변경된 출결 처리 지침에 대해 '수업 운영에 지장을 준다'(94%), '현행 담임제와 부적합하다'(98%)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가 고교학점제의 '최소 성취수준 보장지도'와 관련한 졸업 요건을 2026년에 공개하겠다고 밝히고 있는 가운데, 설문에 참여한 교사의 97%가 '졸업 요건 미확정 상태에서의 지도는 타당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96% 교사는 '미이수 처리 지침이 현실적으로 적용 불가능하다'고 답했다. 이와 함께 최소 성취수준 보장지도가 학습 부진 학생에게 낙인 효과를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자유설문식 조사에서는 △교사에게 떠넘기는 정책(765회) △출결 관리 어려움(443회) △고등학교 현장 고려 없음(432회) △ 과세특이나 출결 등 업무량 많고 현장 혼란(259회) △ 미이수 관련 정확한 정책 마련 필요 (196회) △ 최소 성취기준 책임 막대(124회) 순이었다.
마송은 기자 runni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