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신성범, '산불 진화 인력' 처우 개선 요구…“결국 사람이 꺼야 해”

3일 국회 본회의에서 진행된 '경북·경남·울산지역 산불 사태 수습과 피해대책 마련 및 헌법질서 수호를 위한 긴급현안질문'에서 국민의힘 신성범 의원이 질문하고 있다. 연합뉴스
3일 국회 본회의에서 진행된 '경북·경남·울산지역 산불 사태 수습과 피해대책 마련 및 헌법질서 수호를 위한 긴급현안질문'에서 국민의힘 신성범 의원이 질문하고 있다. 연합뉴스

신성범 국민의힘 의원이 산불 대응 체계 재구조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산불 진화 과정에서 관련 인력 투입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이들의 처우개선 등을 강력하게 요구했다.

신 의원은 3일 국회 본회의 '산불 사태 수습과 피해대책 마련 및 헌법질서 수호를 위한 긴급현안질문'에서 “산불 대책을 언급할 때 (헬기 등) 하드웨어보다 (인력) 훈련도 시켜야 한다. 산불 예방대책보다 대응체계를 현실에 맞게 고쳐야 한다”고 말했다.

신 의원의 지역구는 산청군·함양군·거창군·합천군이다. 특히 경남 산청군은 이번 영남 산불 사태로 인해 피해를 크게 입은 지역이다.

신 의원은 “영남이 불바다가 됐다. 국무총리가 밭두렁 태우지 말고 담배꽁초를 버리지 말라고 얘기하고 있다”며 “진화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말을 언제까지 할 것인지 질문이 나올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다음은 어느 지역이 될지, 어디로 튈지 모르는 게 산불”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기후변화를 언급하며 산불 예방책 마련보다 대응체계 재구축이 먼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특히 헬리콥터 등 대형 진화 장비 구매와 동시에 '특근비 상향' 등 산불 진화 인력 등에 대한 처우 개선 등도 주문했다.

신 의원은 “앞으로 산불은 기후변화에 따라 날 수밖에 없는 것이 대전제다. 이제 대응체계를 어떻게 갖출 것인가가 문제”라며 “산불은 복합재난이다. 불을 끄는 게 문제가 아니고 주민 전체가 달라붙어야 한다. 행정력을 총동원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산불 진화에) 헬리콥터 없이는 안 된다. 그런데 마지막엔 결국 사람이 꺼야 한다”면서 “숲이 우거지니까 낙엽이 많이 쌓인다. 그런데 헬리콥터가 물을 들이부어도 나뭇잎 아래로는 물이 들어가지 않는다. 결국 낙엽 밑 불씨가 살아있게 되고 바람이 불면 다시 산불이 나타나게 된다”고 부연했다.

이어 “결국 사람이 꺼야 한다. 산청도 주불은 잡았지만 잔불 때문에 오늘 아침에도 헬기가 떴다”면서 “(산불진화대 등의) 특근비도 올려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기창 기자 mobydi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