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최측근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반(反)관세' 입장을 나타냈다.
5일(현지시간) 머스크는 이탈리아 극우 정당 라 리가(La Liga) 행사에서 화상 연설을 통해 “미국과 유럽이 매우 긴밀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길 바란다”며 “이상적으로는 무관세 체제로 나아가 자유무역지대를 실질적으로 창출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머스크의 이날 언급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교역국을 상대로 메가톤급 관세 부과를 발표한 지 며칠 만에 나온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미국으로 수입되는 전 세계 대부분 나라의 제품에 10%의 이상의 관세 부과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주요 교역국에는 국가별 상호관세(10%+알파)가 부과되며, EU산 제품에 대해서는 20%가 책정됐다.
머스크의 이날 발언은 무역 불균형 해소 측면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의견이 일치하지만, 해결 방식(관세)에 관해는 이견이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이 발언을 계기로 관세 정책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과 이견이 있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
앞서 머스크는 이날 트럼프 행정부에서 관세 정책의 핵심 역할을 맡고 있는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을 비판하기도 했다.
그는 엑스(X)에서 네티즌이 '나바로는 하버드대 경제학 박사 학위를 보유하고 있다'고 쓴 데 대해 “하버드대 경제학 박사는 나쁜 일이지 좋은 일이 아니다”며 “자아(ego)가 두뇌(brains)보다 큰 문제로 귀결된다”고 주장했다.
한편, 트럼프의 관세 정책 발표 영향으로 지난 3일 다른 주요 기업들과 마찬가지로 테슬라의 주가도 급락하면서 머스크의 개인 자산은 110억 달러(약 16조원) 줄었다.
이원지 기자 news21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