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전 참전한 중국인의 변명… “SNS로 신청, 러 시민권 얻으려고”

젤렌스키 “중국인 155명 참전…중국 정부도 알아”
서방 “개별적 움직임… 국가적 개입 증거는 없어”

우크라이나군이 도네츠크에서 생포했다고 주장하는 중국인과 그의 여권. 사진=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엑스 캡처
우크라이나군이 도네츠크에서 생포했다고 주장하는 중국인과 그의 여권. 사진=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엑스 캡처

우크라이나가 전쟁에서 생포했다고 밝힌 중국인이 러시아 시민권을 얻기 위해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전쟁에 자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9일(현지 시각) 로이터통신·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에 따르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니아 대통령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우크라이나 정보 당국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참전한 중국 국적자 최소 155명의 인적 정보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중국인의 우크라이나전 참전이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하면서 “우크라이나 영토 내에서 우크라이나군과 싸우는 중국 시민 155명의 이름과 여권 정보가 있다. 우리는 정보를 더 모으고 있고, (중국인이) 이보다 더 많이 있을 것이라고 본다”고 했다.

이 발표는 젤렌스키 대통령이 SNS를 통해 중국인 포로 2명을 생포했다고 밝힌 지 하루만에 나왔다. 그는 당시 중국인으로 추정되는 남성의 영상을 올리며 “점령군 부대에는 이 두 명뿐 아니라 더 많은 중국인이 있다는 정보가 있다”고 말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 같은 주장을 SNS에서도 반복했다. 그는 “러시아인들은 중국 SNS에 (용병) 모집 광고를 퍼뜨리고 있다”고 했다.

그는 “이는 비밀스러운 모집이 아니다. 중국 정부도 이에 대해 알고 있다”면서 이 용병들이 중국 당국으로부터 지시를 받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고 전했다.

WSJ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정보 당국이 작성한 관련 보고서에 확인된 중국인은 168명에 달한다. 150명에 더해 13명이 추가 조사됐다. 여기에는 중국인들의 이름, 생년월일, 계약 체결일, 배속된 부대 이름 등이 담겼다. 이들 대다수는 소총병이었으나 일부는 타격 드론352 조종사 등 핵심 신기술을 보유한 경우도 있었다.

중국 정부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적 개입은 없었다고 부인했다.

린 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중국은 우크라이나 측과 정보를 확인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자국민들에게 무력 분쟁 지역에 접근하지 말고, 어떤 형태의 무력 분쟁에도 개입하지 말 것을, 특히 어떤 정당의 군사 작전에도 참여하지 말 것을 당부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젤렌스키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전에 조사된 것보다 많은 중국인이 참전했을 것'이라는 주장에 대해 “사실 근거가 없다”고 부인했다.

중국의 군사적 개입은 매우 우려되는 일이다. 다만 서방 관리들은 “국가 후원의 증거가 없다”며 중국인들의 개별적인 움직임으로 해석하고 있다.

실제로 우크라이나 군 대변인 발표에 따르면 한 중국인 포로 한 명은 '러시아 시민권을 받는 대가로 중국 중개인에게 약 3500달러(약 510만원)를 지불하고 러시아군에 입대했다'고 증언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희원 기자 shw@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