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진장 신발 사진이 많은 곳'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무신사의 시작. 그것은 무신사의 창업자인 조만호 총괄대표의 학창시절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나이키 스니커즈 마니아였기에 무신사가 탄생하게 된 배경에도 나이키가 존재하는데요. 오늘은' MZ들의 패션 놀이터'로 자리매김
-
[김종면의 K브랜드 집중탐구] 〈31〉무신사, MZ의 패션 놀이터2025-02-25 13:47
-
[사이언스온고지신]우리 곁에 더욱 가까워진 AI 휴머노이드 로봇
신년 벽두부터 휴머노이드 로봇 열풍이 거세다. 1월에 열린 CES 2025에서 엔비디아의 젠슨 황은 휴머노이드 로봇을 피지컬 인공지능(AI) 사례로 소개했다.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 한국 대기업도 휴머노이드 사업에 출사표를 던지며 판을 키우고 있다. AI, 양자컴퓨터,
2025-02-24 16:00 -
[ET시론]AI 시대 저작권 이슈 해결을 위한 발상의 전환
지난 달 인공지능(AI) 스타트업을 하고 있는 젊은 기업인으로부터 국내에서 AI 학습 모델을 개발하는 일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실감할 수 있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는 “저작권 때문에 AI 학습 데이터를 구할 수 없어서 크롤링(Crawling) 기법으로 신문기사의 댓글 데
2025-02-24 16:00 -
[콘텐츠칼럼]OTT, 빠르고 정확한 취향 저격 승부수
2025년에도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장은 이미 뜨겁다. 넷플릭스는 지난해 '흑백요리사' '오징어 게임2' 등을 히트시킨 데 이어 지난 1월 공개한 '중증외상센터'로 국내외에서 인기몰이 중이고, 티빙은 '원경'과 '스터디그룹' '춘화연애담' 등의 드라마와 '환승연
2025-02-24 16:00 -
[디지털문서 인사이트] 한국의 대표적 성공적 디지털 대전환 사례-모바일 전자고지, 이제 해외로
한국의 전자정부는 평가 때마다 상위권이었고 국민 체감 만족도 역시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전자정부는 국가의 공적영역에서 디지털기술을 활용해 행정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정부가 정보통신기술(ICT)을 기반으로 국민들이
2025-02-24 16:00 -
[기고]글뤽아우프! 기적을 캐낸 파독 광부, 간호사
“광원여러분, 간호원 여러분 난 지금 몹시 부끄럽고 가슴이 아픕니다. 우리 후손만큼은 결코 이렇게 타국에 팔려 나오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1964년. 1인당 국민소득이 103달러로 아시아 최빈국였던 대한민국! 국가원수로서는 처음으로 서독을 방문한 박정희 대통령의 뒤스부
2025-02-24 15:22 -
[전화성의 기술창업 Targeting] 〈338〉 [AC협회장 주간록48] 스타트업 생태계, 너무 위축될 것 없다
현재 경제적 불확실성은 계엄 사태 이후 여러 정치적 요인으로 인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주가가 내려앉고 원화 가치가 하락하면서 국제 투기 자본들이 알짜배기 기업을 헐값에 사려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정치적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것은 경제적 자해 행위로 볼 수 있다. 모
2025-02-23 17:00 -
[ESG칼럼]건축물 조경 의무설치 기준 확대 시급
현행 '건축법' 제42조에 따르면, 대지면적이 200㎡ 이상인 건축물은 조경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다. 그러나 녹지지역, 공장, 축사 등 일부 용도는 조경 설치 의무 대상에서 제외되며, 이는 도시 녹지율 제고와 탄소 배출 저감에 한계를 가져온다. 조경은 환경적, 사회적,
2025-02-23 16:00 -
[ET시론]기술혁신과 훨씬 더 좋은 미래
아일랜드 출신 작가 오스카 와일드의 희곡 '윈더미어 부인의 부채'에는 “우리는 모두 시궁창에 있지만, 그 중 일부는 별을 바라보고 있다(We are all in the gutter, but some of us are looking at the stars)”라는 대사가
2025-02-23 16:00 -
[이내찬교수의 광고로보는 통신역사]〈28〉챗GPT가 변혁할 교육 방식, 동기·조력·인내
챗GPT는 이용자가 프롬프트에 입력한 질문·요구에 대응해 답변을 생성하는 자연어 처리 인공지능(AI)이다. 기존 웹처럼 여러 출처의 정보를 일일이 검색·종합·요약할 필요가 없기에 가히 혁명적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모색·세련화·확장이 가능하다. 주제를 이해하는데 필요
2025-02-23 16:00 -
[칼럼] 글로벌 음악 시장과 실연자 권리 보호
현재의 음악 시장은 국경을 초월한다. 국내 음악 팬들은 해외 아티스트의 곡을 자유롭게 감상하고, 해외 팬들도 언어의 장벽을 넘어 K팝에 열광한다. 이러한 글로벌 음악 소비 환경 속에서, 가수와 연주자들은 그에 상응하는 공정한 보상을 받고 있을까? 먼저 우리 저작권법을
2025-02-21 11:40 -
[김장현의 테크와 사람] 〈69〉인공지능 융합교육의 어려움
혁신을 반대할 이유를 찾는 것은 쉽다. 예를 들어 문과생에게 프로그래밍을 교육할 때, 명령어를 담은 레고블록 같은 것들을 죽 이어 나가며 원하는 기능을 구현해내는 스크래치와 같은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스크래치는 MIT에서 교육용으로 만든 블록코딩 플랫폼이다. 하지만
2025-02-20 16:00 -
[리더스포럼] BOLD & BRAVE in JEJU
제주도는 최근 '대한민국의 미래를 여는 지속가능 행복도시 제주'를 위한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을 발표했다. 이는 2040년을 목표로 지속가능발전목표(UN-SDGs)에 기반한 장기발전전략 수립과 이를 도정 최상위 정책기조로 채택했다. 이 전략은 환경, 사회, 경제, 평화,
2025-02-20 16:00 -
[정구민의 테크읽기]우리나라 자율주행 서비스 확산에 따른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
올해는 자율주행 시장의 큰 성장이 기대되는 해다. 자율주행 관련 시장에서 주요 국가의 주도권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우리나라에서도 2025년 들어서 자율주행 서비스 확대를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복잡한 도심에서는 심야 시간과 새벽 시간 등 운행이 많지 않은 시
2025-02-20 16:00 -
[ET시론] 초거대 AI를 활용한 정부 혁신 기대
미국 트럼프 행정부 출범이 한 달여 지나가면서 여러 분야의 정책 방향이 조금씩 드러나고 있다. 정부 혁신 분야도 예외가 아닌데, 정부효율부라는 기관을 신설해서까지 연방정부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다. 정부효율부를 실질적으로 이끄는 사람이 혁신 기업가인 일론 머스크로 알려진
2025-02-20 1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