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 썸네일
    한국뇌연구원, 뇌 신경세포 강화에 필요한 메커니즘 규명

    한국뇌연구원은 신경·혈관단위체 연구그룹의 박형주 박사 연구팀이 뇌가 운동이나 절차 기억을 강화할 때 신경세포의 연결 부위인 시냅스 중에서 필요 없는 것을 성상교세포가 선별적으로 제거하면서 진행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발견했다고 18일 밝혔다. 박형주 박사팀은 선행연구를

    2025-03-18 10:04
  • 기사 썸네일
    생기원, 20년 숙원 지역특화센터 정비 이뤄…지역 산업 지원 보다 '면밀하게'

    한국생산기술연구원(원장 이상목)이 숙원 사업이던 산하 미승인 '지역특화센터' 체계 정비를 마치고 3연구소 7지역본부 체계를 정립했다. 기능이 종료되거나 지속운영 필요성이 낮은 센터는 닫고 전체를 체계화해 지역별 중점 연구 분야에 발맞춘 연구개발(R&D), 지역 특화 산

    2025-03-17 16:00
  • 기사 썸네일
    대구TP, 25일 이재진 서울대 교수 초청 'AI 동향과 시사점' 특강

    대구테크노파크(원장 김한식)는 오는 25일 오후 대구경북디자인센터 5층 컨벤션홀에서 명사초청 특강을 진행한다. 이번 특강에는 이재진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장)가 참석해 '인공지능(AI) 국내외 동향과 시사점'이라는 주제로 강연한다. 현재 초거대 A

    2025-03-17 15:18
  • 기사 썸네일
    경북대, 대량생산 가능한 고효율 수처리 분리막 기술 개발

    경북대학교는 남기호 섬유시스템공학과 교수팀이 고속·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염색과 염료 폐수처리에 특화된 수처리 분리막 원천 기술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합성 염료는 섬유, 고무, 화장품, 제약, 식품 가공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연

    2025-03-17 14:50
  • 기사 썸네일
    [ET톡]광장에 나선 과학기술계

    흔히들 '정치와 과학은 분리돼야 한다'고 말한다. 정치권은 '지원하되, 간섭하지 않는다'는 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과학기술계는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않는 연구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 정부도 과거 '원자력기술 홀대'를 지적하긴 했지만 대체로 과기계 지원과 동시에

    2025-03-17 13:29
  • 기사 썸네일
    [대한민국과학자]신용희 ETRI 본부장 “미래 공간 결합 '다봄 프로젝트' 한국 위상 높이길”

    “해마다 수많은 신기술이 나오지만, 실제 상용화에 성공하는 것은 극히 일부입니다. '기술적 타깃팅'과 '시나리오 구상'으로 타당성·가능성을 따져야 하는 이유입니다. 미래 공간 결합기술 밑그림을 그린 '다봄 프로젝트'가 우리 위상을 높이도록 힘을 실어야 합니다.” 한국전

    2025-03-17 12:56
  • 기사 썸네일
    이산화탄소에서 고부가가치 화합물 '부탄올' 생산 성공

    이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화합물로 전환하는 이산화탄소 포집 및 활용 기술(CCU)이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은 이효영 성균관대 교수 연구팀이 새로운 가시광촉매를 활용해 이산화탄소로부터 순도가 높은 부탄올을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고부가가치 화합물 생산에서

    2025-03-17 12:00
  • 기사 썸네일
    '전기차 배터리 충전 15분 만에' KAIST, 혁신 전해질 기술 개발

    전기차(EV) 시장 성장으로 리튬이온 배터리 충전 시간 단축 기술이 중요 과제로 떠오르는 가운데,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 연구진이 혁신적인 전해질 기술을 개발해 충전 시간을 15분으로 단축시켰다. KAIST는 최남순 생명화학공학과 교수팀이 홍승범 신소재

    2025-03-17 11:51
  • 기사 썸네일
    “생명연이 글로벌 바이오 위상 높일 초석 되길” 권석윤 신임 원장 취임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17일 오전 10시 대전 본원 대강당에서 15대 권석윤 원장 취임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이날 권 신임 원장은 취임사에서 “급변하는 글로벌 바이오 환경 속에서 우리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더욱 도전적인 혁신을 이뤄야 할 시점에 와 있다”고 강조했다. 기

    2025-03-17 11:40
  • 기사 썸네일
    이노스페이스, 위성 발사체 '한빛' 발사대 독자 개발…체계연동시험 성공

    이노스페이스(대표이사 김수종)가 위성 발사체 '한빛-나노(HANBIT)' 발사대를 독자 개발해 발사대-발사체 체계연동시험까지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번 시험은 발사대 제조를 맡은 협력사 삼우에코에서 진행했다. 발사체를 조립한 후 장착 과정부터 기립, 추진제 공급 시스템

    2025-03-17 10:10
  • 기사 썸네일
    포스텍, '테이프' 기술로 메타표면 상용화 앞당길 기술 개발

    포스텍(POSTECH)은 노준석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융합대학원 교수와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박유진 씨 연구팀이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핵심 기술인 메타표면 상용화를 앞당길 신기술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메타표면은 나노미터(㎚) 규모의 인공 구조체를 이용

    2025-03-17 09:19
  • 기사 썸네일
    진주시, 초소형 민간 위성 '진주샛-1B' 발사 성공…전국 지자체 첫 성과

    경남 진주시가 전국 지자체 최초로 개발한 초소형 위성 'JINJUSat(진주샛)-1B'가 미국 캘리포니아 우주군 기지(현지 시각 14일 오후 11시 39분)에서 발사돼 첫 교신에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진주시는 '진주샛-1B'는 발사 약 54분 후인 고도 약 520

    2025-03-16 13:13
  • 기사 썸네일
    지방간 신약 개발용 인공장기, '살려서 오래 쓰는 길' 열렸다

    그동안 파괴 방식이 불가피했던 지방간 치료 신약 개발용 인공장기를 비파괴식 활용하는 연구 성과가 나왔다. 인공장기 하나를 손상없이 계속 사용하며 간 질환 진행 경과를 연속 측정하는 연구가 가능해졌다. 한국화학연구원(원장 이영국)은 김현우·배명애 박사팀이 비알콜성 지방간

    2025-03-16 12:00
  • 기사 썸네일
    [케이메디허브, 변화와 혁신의 파도에 올라타다]〈3〉전임상센터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사장 박구선) 전임상센터는 전임상 핵심연구시설로 동물실험을 통해 의료제품이 식약처, 미국식품의약국(FDA), CE 등 규제기관의 인증과 허가를 받기 위해 필요한 유효성과 안전성 평가를 지원한다. 지난해 전임상센터는 어려운 환경에

    2025-03-15 01:00
  • 기사 썸네일
    백세범 KAIST 교수,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부편집장 임명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은 백세범 뇌인지과학과 교수가 세계적 권위의 과학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의 신경과학(Neuroscience) 분과 부편집장으로 임명됐다고 14일 밝혔다. 백세범 교수는 신경과학의 난제 중 하나였던 시각피질 뇌 지도 발생 원리를

    2025-03-14 1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