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라인> 새 밀레니엄 새 장관론

박재성 정보통신부장



 매킨토시의 개발자인 스티브 잡스는 벌써 수년 전에 『데스크톱 컴퓨터의 시대는 끝났고 마이크로소프트가 승리했다』고 말했다. 데이터베이스업체 오라클의 최고경영자인 래리 엘리슨도 그무렵 『개인용 컴퓨터(PC)는 이제 우스꽝스러운 기계장치』라 했다. 컴퓨터 분야의 두 거물은 인터넷을 비롯한 네트워크가 세상을 지배할 것으로 90년대 초에 벌써 예측했다. 그것은 그로부터 5년이 채 지나지 않아 사실로 드러났다.

 정보사회의 수단으로서 정보통신을 주도하는 흐름은 60, 70년대 메인프레임에서 80년대에는 PC로 바뀌었다. 이어서 소프트웨어로, 90년대 후반인 이제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Net)」로 변했다. 인터넷은 90년부터 올해까지 매년 200%씩 성장, 이용자는 현재 2억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수년안에 2배로 늘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렇지만 미국 3M의 창시자이며 이더넷 개발자이기도 한 밥 메트카프는 「인터넷 붕괴론」을 펴는 대표적인 사람이다. 그는 그 이유로 인터넷은 투자가 엄청나게 드는 반면 반대 급부가 적으며, 디지털머니에 의한 전자거래는 성립되지 않고, 광고시장도 형성되지 않는 점을 들었다. 이밖에도 그는 프라이버시나 포르노 등 7가지나 이유를 더 꼽았다.

 섬광과도 같은 인터넷의 빛은 한편으로는 짙은 그림자를 남기고 있다. 성공과 실패를 가름하기는 아직 이를지 모르겠지만 인터넷 붐에 편승, 사업에 뛰어들어 성공한 사람은 현재 5%도 채 안된다. 미디어로서의 인터넷은 번성했지만 사업으로서의 인터넷은 극히 일부만 성공을 보장받고 있다. 이미 뉴욕타임스나 비즈니스위크 등은 기업체나 기관 등이 정보기술(IT)에 대해 엄청난 투자를 하는데도 생산성은 별로 향상되지 않는 점을 「생산성 패러독스(Productivity Paradox)」라고 규정, 정보기술에 대한 신중한 투자를 당부한 바 있다.

 그같은 점은 「인터넷 이후의 다른 무엇」을 벌써 잉태시키는지도 모른다. 전세계 정보통신분야의 전문가들도 『정보기술이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 것인가』라는 질문에 『거의 아무것도 알 수 없다』고 대부분 말한다. 그들은 미래기술을 예측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미국의 웨스턴유니언이 좋은 예다. 1876년 전화를 발명한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은 웨스턴유니언에 10만달러라는 헐값에 특허권을 매각하고 싶다고 제안했다.

 그런데 미국에서 전신사업을 독점하고 있던 웨스턴은 거들떠보지도 않았다. 전화가 근거리용으로 사용될 것이며 수익성도 별로 없을 것이라는 판단에서였다. 결국 전화사업은 AT&T로 넘어갔으며 이 회사는 1세기가 지난 지금 전화와 전신을 포함한 다양한 통신서비스회사가 됐다. 물론 웨스턴과는 비교조차 할 수 없는 규모로 커버렸다.

 오늘날 기술발전은 그 어느 때보다 빨라 산업이나 사회를 급변하게 하고 있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정보사회의 「메가 트렌드」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일인 것 같다. 그것은 기술적 「푸시(Push)」와 고객의 「풀(Pull)」을 꿰뚫고 있어야 가능하다.

 예측능력은 기업체의 총수뿐만 아니라 고위 정책 입안자에게도 중요성이 더해지는 새로운 덕목이다. 그것 없이 경영이든 정책이든 판단을 내리는 것은 성공확률이 극히 낮다. 올바른 예측은 산업을 일으키고 나라를 구한다. 그렇지 못하면 기업이나 국가가 어려움에 처하는 것은 당연지사다. 특히 정보통신은 이제 단순한 산업이 아니라 정보사회의 「작은 국가」다.

 그 때문에 정보통신부 장관에 대해서는 기대도 크고 말도 많다. 특히 선거가 가까와지면서 이런 저런 얘기들이 끊이지 않고 있다.

 몰론 「후임 장관감」에 대한 논의도 활발하다. 후임은 새 밀레니엄의 첫 장관이 될 공산이 크다. 그에게는 작게는 IMT2000서비스사업자 선정이, 크게는 우리나라가 선진 정보사회로 거듭나는 데 견인차 역할을 해야 하는 중책이 부여돼 있다. 시대가 변한다고 해서 매사에 공평무사해야 하는 기본에 큰 차이가 있을 수는 없겠지만 새 밀레니엄에 걸맞은 장관의 자질 가운데 하나를 추가한다면 정보기술에 대한 예측능력일 것 같다. 올바른 판단에 의해 희망으로 가득찬 정보사회의 꿈이 실현되기를 바라는 것이 국민들의 여망임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