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트 회장은 “인쇄 매체와 디지털 매체 비율은 현재 95대 5지만 오는 2015년께 50대 50으로 바뀔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이처럼 디지털에서 생성·유통·소멸되는 정보가 급증하는 환경속 에서 정보 트러스트 운동, 공공 도서관 디지털 납본 제도 도입 등을 통한 디지털 정보 보전 작업은 하루라도 늦출 수 없는 시급한 과제이다.
다행히 국내에서는 최근 시민·사회단체, 정부, 국립 도서관 등이 이에대한 다각도의 연구와 실천에 돌입하는 등 노력이 눈에 띈다. 궁극적으로 늦어도 2010년경까지는 국립디지털도서관이 완공되고 최소 1∼2년 내에 디지털 납본 제도도 법으로 의무화될 전망이다.
이같은 노력이 결실을 맺기 위해서는 우선 초기 단계에서부터 정부는 물론 민간, 공공 영역의 적극적인 협조 아래 효율적인 국가 지식 정보 자원 구축을 위한 중장기 프로젝트가 구상돼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 관계자는 “디지털 유산은 보존도 중요하지만 접근 허용 범위와 방법에 대한 사회적 토론과 건설적인 합의 형성 과정이 매우 중요하다”며 “디지털유산 보존 취지에 공감하는 단체·기관들과 함께 이같은 공론화 작업을 벌여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간 영역에서부터 시작된 인터넷콘텐츠 복원 작업도 방향성 수립 측면에서 중요하다. 사이버문화연구소 김보영 연구원은 “사장된 인터넷 콘텐츠를 어떻게 복원하고 알릴 것인가가 가장 어려운 대목 중 하나”라며 “사이버 상에서 진행된 이벤트, 미디어 등에 우선 초점을 맞추지만 큰 줄기를 잡기 위한 연구는 꾸준히 병행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립디지털도서관 건립을 추진 중인 이치주 국립중앙도서관 정보화담당관도 “선진국에 비해 우리나라는 도서관은 물론 디지 털정보 접근성이 매우 떨어진다”며 “국립디지털도서관은 모든 이용자의 정보 접근권을 보장하는 동시에 소리없이 사라지는 정보의 관리도 수행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인터뷰]민경배 경희사이버대학교 교수
“아날로그 정보는 도서관에서 책으로 보존되지만 디지털정보는 사이트가 폐쇄되고 서버가 정리되면 사라져버립니다. 유해 인터넷 콘텐츠에 단속 못지 않게 우수 콘텐츠를 보존해 인터넷을 풍성한 지식정보의 장으로 만들기 위한 사회적 노력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정보트러스트 운동에 적극 참여하고 있는 민경배 경희사이버대학교 교수는 “사실 정보트러스트 운동과 같은 디지털문화유산 보존 노력은 공공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정부가 나서야 한다”면서 “민간 영역에서는 문제 의식을 사회적으로 널리 확산시키고 시범 사업을 통해 가시적인 성과물을 정부에 제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민 교수는 특히 “대다수 출판물들이 컴퓨터 상에서 쓰여지는 현실을 고려할 때 디지털 자료의 도서관납본은 매우 중요한 영역”이라며 “정보트러스트운동도 디지털 납본의 제도적 정착을 위한 연구와 캠페인에 착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민 교수는 또 “기업도 사회적 공헌의 영역을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확장시킨다는 측면에서 참여해야 한다”며 검색·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사업자들은 그동안 추진해온 사업영역 자체가 정보트러스트 운동의 대상이자 중요한 자산이어서 적극적인 협조가 절실하다”고 힘주어 말했다.
<김유경기자 yukyung@etnews.co.kr>